부산에 ‘IHO 인프라센터’…첫 국제해양기구 유치
- 디지털 해도 상용화 등 연구
- 해수부 이전 맞물려 큰 의미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해양지도 정보를 관리하는 유엔(UN) 산하 ‘국제수로기구(IHO) 인프라센터’가 부산에 설립된다.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이 추진되는 가운데 부산이 처음으로 국제해양기구를 유치하게 돼 의미가 남다르다. 정부가 국내 해양수산 기능을 부산으로 집적시키기로 한 상황에서 국제 표준을 결정하는 국제 해양기구가 부산에 설립되면 시너지 효과도 클 것으로 기대된다.
19일 국제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IHO는 지난 16일 모나코에서 제9차 이사회를 열어 인프라센터 설립지를 대한민국 부산으로 결정했다. 국내에선 부산과 인천이 유치전에 뛰어들었으나, 부산이 상대적으로 해양산업 규모가 크고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한국선급 등 유관기관과 업무 연계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인프라센터는 내년 4월 개최 예정인 IHO 총회의 회원국 최종 승인을 거쳐 부산국제금융센터에서 정식 출범할 예정이다.
인프라센터는 새 디지털 해도 국제표준(S-100) 상용화에 필요한 연구와 운용 테스트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3차원 해저 지형과 실시간으로 관측되는 조석, 해양 기상 등 다양한 해양 정보의 국제표준을 개발·관리하고, 기존 선박에 장착된 구형의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등이다.
현재 선박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해도는 종이 해도를 디지털화한 수준이다. 특히 국제해사기구(IMO)가 2029년부터 수주하는 선박에 디지털 해도를 반드시 넣도록 의무화하면서 국제 해도 표준을 정하는 과정에서 한국의 영향력이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인프라센터 상주 인력은 수십 명으로 많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디지털 해도 표준 개발·논의를 위한 국제회의 부산 개최, 해양 IT(정보통신) 기술기업, 자율주행선박 및 해양장비 제조사 등의 관련 기업 투자가 기대된다.
앞서 부산 영도 동삼혁신지구에 소재한 국립해양조사원은 2023년 IHO총회에서 인프라센터 건립을 제안했고, 이것이 의제로 채택됐다. 이후 IHO는 인프라센터 설립지를 한국으로 낙점했으며, 유치 도시 선정이 이번에 이뤄졌다. 국립해양조사원 관계자는 “그간 한국이 디지털 해도 국제표준 개발을 주도적으로 해 왔던 점을 높게 산 것 같다”고 설명했다.
102개 국가를 회원으로 둔 IHO는 1921년 6월 선박 항해 안전을 위해 모나코에서 설립됐다. 한국은 1957년에 가입했다. 전재수 해수부 장관은 “한국 정부는 그동안 모범적인 해양국으로서 역할을 다해 왔다”며 “오는 12월 유엔 총회에서도 부산이 제4차 유엔해양총회 개최지로 선정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국제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국제신문 주요뉴스해당 언론사에서 선정하며 언론사(아웃링크)로 이동합니다.
-
QR을 촬영해보세요. [창간기획] 낙동강 하구 0.9℃의 경고
-
QR을 촬영해보세요. 네이버 메인에서 국제신문 구독하기
3
국제신문 헤드라인
더보기
국제신문 랭킹 뉴스
정오~오후 1시까지 집계한 결과입니다.
더보기
함께 볼만한 뉴스
5
이슈 NOW
언론사에서 직접 선별한 이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