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관련 부서 신설 등 ‘AI수도’ 구축위한 공격 행보 나섰다

방종근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AI수도 추진본부' 신설, 'AI산업전략과', '미래첨단도시과' 등 2개과로 구성
정부 ‘지역 주도형 인공지능 대전환 사업’ 공모 선정 국비 140억 원도 확보
울산시가 ‘AI(인공지능) 수도’ 구축을 위해 부서를 신설하고, 관련 분야의 지역 주도형 대전환 사업에 착수하는 등 공격적인 행보에 나섰다.

울산시청 전경. 국제신문DB

시는 ‘인공지능(AI) 수도 도약’ 업무를 주도할 국(局) 단위 조직을 신설한다고 1일 밝혔다. 이에 따라 시는 미래 역점사업 추진을 위한 기구와 사무 조정을 골자로 하는 ‘울산시 행정기구 설치 조례 개정안’과 ‘울산시 공무원 정원 조례 개정안’을 2일 입법 예고한다.

이번 조직개편의 핵심은 ’AI수도추진본부‘ 신설이다. AI데이터센터 유치를 계기로 ’산업수도‘의 위상을 넘어 ’AI 수도‘로 대전환을 이끌 전담 조직을 갖추는 것이다. AI수도추진본부는 기존 인공지능팀을 확대 개편한 ’AI산업전략과‘와 ’미래첨단도시과‘ 등 2개 과로 구성된다.

이 외에도 시는 기존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주력산업 지원 기능을 강화한다. 기존 신산업과 소속 바이오산업팀과 배터리산업팀을 ’주력산업과‘로 이관해 자동차·조선·석유화학·비철금속·이차전지 등 5대 주력산업 체계를 확립한다. 시는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계유산에 등재됨에 따라 ’반구천암각화세계유산추진단‘을 폐지하고, ’문화유산과‘를 신설한다. 문화유산과는 암각화 보존과 역사문화탐방로 조성, 세계암각화센터 건립 등 후속 과제를 추진하게 된다.

조직 신설로 시 행정기구는 기존 14개 실·국·본부 67개 과에서 15개 실·국·본부 66개 과로 재편된다. 정원은 3478명으로 5명 늘어난다. 이번 조직개편안은 오는 13일까지 입법예고 후 시의회 심의·의결을 거쳐 내년 1월 1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한편, 시는 중소벤처기업부 주관 ‘지역 주도형 인공지능(AI) 대전환 사업’ 공모에 선정돼 국비 140억 원을 확보했다. 이 사업은 AI 활용률이 낮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AI 도입을 촉진해 기업 경쟁력을 높여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격차를 줄이려는 목적으로 추진된다.

시는 주관기관인 울산테크노파크를 비롯해 울산정보산업진흥원, 울산과학기술원(UNIST), 울산대,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 등과 컨소시엄을 꾸려 공모에 참여했다. 공모 선정으로 시는 2026년까지 지역 중소기업의 AI 활용 기술 보급·확산에 총 233억4000만원(국비 140억원 포함)을 지원하게 된다.

사업은 AI 혁신 허브 구축, AI 컴퓨팅 센터 구축, AI 해법 보급과 맞춤형 컨설팅, 인재 양성 등 4개 분야로 추진된다. 시는 AI 혁신 거점을 조성해 중소기업의 AI 기술 체험을 지원하고, 최신 GPU 서버를 탑재한 AI 컴퓨팅 센터를 구축해 200개 이상의 기업을 지원한다. AI 해법 보급을 통해 기업 진단과 전략 고도화 등 즉시 활용할 수 있는 설루션을 지원하고, 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체험 중심 AI 교육과정과 현장 연계 전문인력 교육 등을 추진한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