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륜차 사고로 5년간 12만 명 사상···법규 위반 적발 161만 건

도건협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최근 5년간 이륜차 사고로 숨지거나 다친 사람이 12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더불어민주당 민홍철 의원(경남 김해갑)이 경찰청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최근 5년간(2020~2024년) 이륜차 교통사고는 모두 9만 1,890건 발생했습니다.

사망자는 2,201명, 부상자는 11만 8,440명에 달해 연평균 약 440명이 목숨을 잃고 2만 3천여 명이 부상을 당했습니다.

사고 원인은 '안전 의무 불이행'이 절반을 넘는 52.5%를 차지해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서 신호위반 1만 8,970건(20.6%), 기타 7,963건(8.7%), 안전거리 미확보 6,253건(6.8%), 교차로 통행 방법 위반 4,349건(4.7%), 중앙선 침범 3,707건(4.0%), 보행자 보호 불이행 2,386건(2.6%)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법규 위반 적발 건수는 같은 기간 161만 710건에 달했습니다.

보호장구 미착용이 63만 3,183건으로 39.3%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기타 위반 30.4%, 신호 위반 22%, 보도 통행 4.9%, 중앙선 침범 2.4% 등이었습니다.

특히 신호 위반은 사고 원인과 단속 건수에서 모두 높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번호판이 뒤쪽에 부착돼 있어 기존 무인단속 장비로 적발이 어렵자 경찰청은 2023년 4월부터 신호·과속 단속용 후면 무인단속 장비를 도입했습니다.

도입 초기인 2023년 무인 단속 적발 건수는 2만 4,990건에 그쳤지만, 2024년에는 38만 6,803건으로 15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2025년 상반기에도 이미 45만 2,762건이 적발돼 전년도 전체 단속 수치를 훌쩍 넘겼습니다.

민홍철 의원은 "이륜차는 차체가 가볍고 승차자의 신체가 노출돼 사고 시 피해가 더욱 치명적"이라며 "무인단속 장비 확대도 중요하지만, 운전자 스스로 책임 의식과 법규 준수 의식이 병행돼야 실질적인 사고 예방 효과를 거둘 수 있다"라고 강조했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