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전·단수 위험인구 3만 명···이 중 기초생활 수급은 10%에 불과

권윤수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전국에서 단전·단수 위험인구는 3만 명이 넘지만, 이 가운데 기초생활 수급 인구는 10% 정도에 불과해 복지 사각지대가 넓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서미화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 한국사회보장정보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5년 기준 17개 광역자치단체의 단전·단수 위험 인구는 각각 1만 7,103명, 1만 4,639명으로 나타났습니다.

단전 위험 인구는 경기도, 서울시, 인천시 등의 순으로 많았고, 단수 위험 인구는 경기도, 인천시, 경상남도 순으로 많았습니다.

서미화 의원은 "단전 위험 인구 가운데 기초생활 수급 대상은 13.7%, 단수 위험 인구 중 기초생활 수급 비율은 11.9%에 그쳐, 생활이 어렵지만 실제 복지 지원을 받지 못하는 '복지 사각지대'가 넓다"라고 지적했습니다.

단전·단수 위험 인구는 전기수도 요금 체납이나 금융 연체 등 다양한 위기 정보로 시스템에 포착된 대상자를 의미합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