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APEC 개최지가 서울?⋯AI에서 석굴암·첨성대 왜곡 이미지로 생성

권윤수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경주 석굴암이나 첨성대 등이 인공지능에서 왜곡된 이미지로 생성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승수 국민의힘 국회의원은 "인공지능을 통해 '경주 APEC'의 개최지를 묻자 '서울'이라는 틀린 답변이 나왔다"라고 밝혔습니다.

또 "세계문화유산인 석굴암의 이미지를 인공지능에 요청하면, 석굴 자체가 사라진 모습으로 묘사하고, 국보인 첨성대의 경우 천문대에 가까운 모습으로 묘사한다"라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경주 APEC의 상징이자 보물인 얼굴무늬 수막새의 경우, 이미지 왜곡을 넘어 기괴하기까지 한 이미지를 생성한다"라고 지적했습니다.

김승수 의원은 "대한민국의 정체성인 문화유산에 대한 충분한 고증과 그에 따른 데이터 구축이 시급하다"라며 "2주도 남지 않은 경주 APEC을 앞둔 상황에서 정부는 조속한 보완 대책을 마련하라"라고 촉구했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