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입주 중소기업 10곳 중 8곳이 재가동 시 재입주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지난 9월 22일부터 10월 1일까지 개성공단 입주기업 124개사를 대상으로 '남북경협 관련 중소기업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87.2%가 개성공단의 경제 성과에 대해 '긍정적'이라고 평가했습니다.
개성공단 재가동 시 재입주 의향이 있다고 답한 중소기업이 80%에 달했습니다.
재가동 시 필요한 정부 지원책으로는 기업 피해 보상 기준 마련(52.7%), 정치·군사적 리스크 완화(25.5%), 통행·통신·통관제도 개선(9.1%)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개성공단 입주기업을 포함해 50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응답 기업의 45.5%가 남북 경제 협력이 한국의 경제 발전과 기업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했습니다.
중국이나 베트남 등 신흥국 대비 북한의 투자 환경이 유리하다고 응답한 업체 36%였고, 비슷하다고 응답한 업체가 27.5%, 불리하다는 응답이 21.5%였습니다.
남북경협의 장점(복수 응답)으로는 '인력 확보 용이성'이 25.1%로 가장 많았고, '지리적 접근성'(21.0%), '언어·문화 유사성'(18.9%), '원자재·자원 확보 용이성'(15.6%)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남북경협 추진 형태로는 북한 내 접경지역 경제특구(35.0%), 남한기업의 북한 위탁 생산(33.5%), 남한 내 접경 지역 경제특구(21.0%), 제3국 내 남북 생산기지 공동 운영(6.5%) 순으로 응답이 많았습니다.
남북경협 재개를 위해 필요한 정부 지원책(복수 응답)은 '남북경협 특별법 등 법률 장치 마련'이 24.8%로 가장 높았고, '통행·통신·통관 등 인프라 개선'(22.5%), '재산·신체 손해배상 방안 마련'(19.1%)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남북경협은 중소기업의 제조 기반 회복과 한반도 평화 경제 실현을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제"라며, "미국의 고관세 정책과 중국의 저가 공세로 어려움을 겪는 현 상황에서 남북경협은 중소기업에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다"라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