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우주항공산업진흥원의 대전 설립에 팔을 걷었다. 최성아 정무경제과학부시장이 22일 경남 사천의 우주항공청을 방문해 노경원 차장과 면담에서 진흥원의 대전 설립을 건의했다. 아울러 KAIST에 세워질 우주기술혁신인재양성센터의 인력양성사업에 대한 국비 지원도 요청했다. 우주항공산업진흥원은 정책 개발, 기술 이전 및 사업화, 창업 및 해외 진출 등 국가 우주항공산업의 체계적 지원을 전담하는 기관이다.
대전시는 이번 방문에서 진흥원을 대전에 설립해야 정부 부처 및 연구기관 간 협력 시너지가 극대화 돼 국가 우주항공산업 발전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더불어민주당 황정아(대전 유성구을) 의원도 "우주항공산업진흥원과 우주항공청 연구개발본부를 대전에 신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진흥원의 유치 경쟁이 만만치 않아 보인다. 박완주 경남도지사는 진흥원 유치를 도정의 핵심 과제로 제시했다. 이어 경남도는 지난달 22일 이미 우주항공청을 찾아 우주항공산업진흥원 설립, 우주항공복합도시 특별법 제정, 우주항공청 신청사 조기 건립, 경남 우주항공클러스터 협의체 구성, 우주항공 특화 3D 프린팅 기술 통합지원센터 건립 등을 종합적으로 건의했다. 우주 산업에 대한 보다 큰 그림을 제시한 셈이다.
대전에는 두 말할 나위 없이 우주항공 기술이 집약돼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비롯해 과학기술 분야 정부출연 연구기관이 집중돼 있는 데다 2800여 개 첨단기업이 밀집해 있다. 이들 기업들은 위성체·발사체·지상체 등 우주기술 전 분야를 포괄할 뿐 아니라 핵심 부품 제조가 가능해 우주산업 발전의 최적의 기반으로 꼽힌다.
시는 탑립·전민 국가산업단지, 안산국방산업단지, 나도·반도체 국가산업단지를 개발하거나 추진하고 있고 우주기술혁신인재양성센터를 구축 중이다. 이들 시설은 우주산업 발전을 위한 강력한 생태계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여건의 우수성만으로 중요 시설을 꼭 유치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정치력과 시민 결집력이 중요하다. 대전시는 그동안 과학도시라면서도 과학기술 관련 시설 유치에 적지 않게 고배를 마셨던 과거의 경험을 반면 교사로 삼아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