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 장기이식 70% 수도권 쏠림현상… 의료격차 대책 필요

윤신영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최근 5년간 장기이식 수술의 약 70% 수도권서 수행
서미화 "지역 의료 인프라 확충 등 실효 있는 대책 시급"
서미화 의원. 서미화 의원실 제공


지방에서 뇌사추정자가 발생하더라도 실제 장기이식 수술은 대부분 수도권에서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서미화(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장기조직기증원과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20-2024년) 잠재적 장기기증자인 뇌사추정자는 총 1만 2386명으로 집계됐다.

수도권은 서울 24.3%(3008명), 경기 21%(2598명), 인천 6.1%(758명)다. 충청권은 대전 4.1%(514명), 세종 0.2%(28명), 충북 2.3%(287명), 충남 3.3%(408명) 등으로 인구 규모와 대체로 비례하고 있다.

그러나 같은 기간 이뤄진 총 7515건의 장기이식 수술 중 약 70%(5201건)이 수도권에서 이뤄졌다. 수도권은 서울 54.3%(4079건), 경기 11.4%(859건), 인천 3.5%(263건)이고, 충청권은 대전 2.4%(183건), 세종 0.2%(14건), 충북 0.2%(17명), 충남 1.5%(116건) 등으로 집계됐다.

서 의원은 이러한 쏠림 현상에 대해 "장기이식 수술이 가능한 대형병원과 전문 의료진이 수도권에 집중돼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장기이식 수술은 외과 전문의와 이식 코디네이터 등 다학제 협력팀이 필수적이지만, 지방 병원들은 이식 전담팀과 응급 수술 시스템을 충분히 갖추지 못해 지방에서 뇌사추정자가 발생하더라도 실제 이식수술은 수도권 대형병원에서 이뤄지는 구조가 고착화됐다는 것이 서 의원의 설명이다.

이광웅 대한간이식학회장은 "장기이식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장기 적출·이송 네트워크 구성 사업'이 필요하다"며 "의료진이 지역을 오가며 장기를 적출하는 방식은 소모적"이라고 말했다.

서 의원은 "일분일초가 중요한 장기이식 수술조차 지방의 의료 인프라 부족으로 인해 수도권에 편중되고 있다"며 "정부는 지역 의료 인프라를 확충하고, 의료기관과 의료인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 현장르포' 뉴스人
  • 줌인(Zoom in)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
댓글

대전일보 댓글 정책에 따라 대전일보에서 제공하는 정치섹션 기사의 본문 하단에는 댓글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