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의료원, 인력 이탈·재정 열악…공공의대·지역의사제 필요"

김소연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대전일보DB


지방의료원연합회가 지역 공공의료 일선 인력 부족을 지적하며 공공의대와 지역의사제 도입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영완 지방의료원연합회 회장(서산의료원장)은 2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박희승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공공의대를 설립해 인력을 안정적으로 배출하면 지방의료원의 어려움을 상당히 덜 수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의에 이같이 말했다.

김 회장은 "공공의료 부문은 늘 사람을 찾기가 어렵고 지방은 상황이 더 열악하다"며 "공공의대나 지역의사제를 통해서 안정적인 의료인력 공급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인력 이탈 문제가 매우 심각한데, 특히 의사 인력의 수도권 및 대형병원 쏠림 현상이 날로 심화하고 있다"며 "정부에서 공공임상교수제, 시니어의사제 등으로 인력을 지원하고 있지만 전체를 커버하기에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라고 토로했다.

또 김 회장은 지방의료원의 열악한 재정 환경도 꼬집었다. 올 6월 말 기준 적자를 겪는 지방의료원은 총 29곳이며, 이들의 적자 규모는 484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병상 가동률도 62.5%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는 "올 연말까지 추계해보면 그보다 더 많은 약 1500억여 원의 적자가 예상된다"며 "지금도 일부 의료원은 임금체불 등이 발생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의료인력과 직원들의 이탈이 더 심각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지방의료원이 다시 본연의 기능을 발휘하고 든든한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정부와 국회의 관심과 배려가 절실하다"며 "전국의 지방의료원은 공공의료의 최일선에서 지역의 건강 안전망을 굳건히 유지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했다.

지방의료원연합회는 지역에서 공공의료를 담당하는 지방의료원 35개 연합이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 현장르포' 뉴스人
  • 줌인(Zoom in)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