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진화작업에 투입되는 헬기 10대 중 7대는 30년이 지난 노후 헬기인 것으로 조사됐다.
2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이 조달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 산불 진화 등에 투입되는 헬기 88대 중 59대(67%)가 30년 이상 사용됐다.
노후 헬기 중 40년 넘은 기체는 28대, 50년 이상 된 기체는 9대, 60년 이상 기체는 3대였다.
산불 헬기 관련 사고는 2021년부터 올해까지 모두 5건이 발생했는데, 사고 헬기 중 상당수가 오래된 기체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박 의원은 조달청의 노령 헬기 임차 활용은 조달 방식에 이유가 있다고 설명했다.
조달청은 나라장터를 통해 헬기 임차를 하며 다수 공급자 계약제도를 거쳐 업체를 선정한다. 업체가 헬기를 제공하면 조달청에서 가격자료를 수집해 협상 기준 가격을 정하고 그 이하 가격에서 낙찰하는 구조여서 헬기 업체들은 임차 가격을 인하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것이다.
박 의원은 "산불 진화에 오래된 헬기를 사용할 수밖에 없는 구조가 굳어지면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며 "조달청은 헬기 단가를 산정할 때 감항 검사 등 안전성 평가 요소를 반영해 비행기 연수에 따라 차등적인 가격결정 구조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