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중부권동서횡단철도 사업, 이젠 첫걸음 떼야

입력
기사원문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중부권 동서횡단철도 건설 기본노선안. 대전일보DB


더불어민주당 문진석 의원이 13일 열린 국토교통부 국정감사에서 중부권 동서횡단철도 건설 사업의 초기 추진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 철도는 충남 서산에서 경북 울진까지 총연장 330km에 이르는 대형 국책사업이다. 한반도 허리를 잇는 동서축 철도로서 충남 5곳, 충북 3곳, 경북 5곳 등 13곳이 연결되는 것이다. 특히 동서 간 획기적인 접근성 개선 효과를 빼놓을 수 없다. 양쪽을 오가는 데 2시간이 채 안 걸릴 것이라고 한다. 그동안 저평가돼 온 게 이 철도 건설이다. 그러다 지역 출신 의원이 정식으로 '문제' 삼은 것이다.

현재 충남 서부권에서 경북 동해안까지 가는 직통열차가 없는 탓에 불가불 서울을 경유해야 해 불편이 따르고 비용 문제도 수반된다. 자연히 물류·관광 비용 증가는 물론, 지역 간 경제교류 미치는 제약이 작다고 보기 어렵다. 그런 면에서 중부권 동서횡단철도 건설은 동서 간 막힌 '혈맥'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대체 불가한 정책 수단이 아닐 수 없다. 중부권 물류·관광·경제벨트가 구축됨으로써 국토균형발전 정책과도 충분히 상통하는 것은 물론이다. 사업 규모가 큰 만큼 생산유발 효과, 일자리 창출, 부가가치 유발 효과 등을 합치면 투자비 회수는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는 분석이 나와 있다. 경제성, 타당성 논리만을 내세워 미루는 게 능사가 아닌 것이다.

이제는 이 철도 건설을 위한 첫걸음을 떼야 한다. 대선 때 공약 과제로 채택해 놓고 아무 노력도 안 한 과거 정부의 길을 걸어서는 안 된다. 충남·북 및 경북 지자체들의 공감대로 무르익을 만큼 무르익은 상태다. 여야 의원들이 특별법도 발의해 놓았다. 문 의원이 지적했듯이 달빛내륙철도(대구-광주)) 건설 사업은 21대 국회 때 여야가 힘을 합쳐 일군 성과였다. 충청권 숙원사업인 중부권동서횡단철도 같은 방식으로 협력하면 정부도 마냥 외면하지는 못할 것이다.

1차 관문은 올해 하반기 발표를 앞둔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시키는 일이다. 4년 전에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중 추가 검토사업으로 턱걸이 지정됐지만 본 계획에는 반영되지 못한 전철을 다시 밟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이번에도 안되면 중부권 동서횡단철도 건설은 차기 정부로 넘어간다. 종 치는 것이다.

#철도 #철도망 #공주역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오피니언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 현장르포' 뉴스人
  • 줌인(Zoom in)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