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 어기구, "충남, 해양쓰레기 수거량 전국 3위인데…전용 수거선 '0척'"

박명규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어기구 의원 사진=의원실 제공


충남이 전국 3위의 해양쓰레기 수거량을 기록하고 있는데도 전용 수거선을 단 한 척도 보유하지 못하고 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장 어기구 의원(더불어민주당, 충남 당진시)은 해양수산부(이하 해수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해수부는 해양환경 개선을 위해 최근 5년간 총 4,648억 원을 해양폐기물 정화사업에 투입했다.

이 가운데 835억 원은 연근해 어장 생산성 개선사업(침적 폐어구 수거 등)에 사용됐고, 같은 기간 수거된 폐어구는 2만 1,215톤에 달했다.

지자체별 해양폐기물 수거량은 제주(49만 3,778톤)가 가장 많고, 이어 전남(19만 7,033톤), 충남(6만 7,943톤), 경남(5만 2,500톤), 경북(4만 5,823톤) 순으로 나타났다.

충남은 연간 해양쓰레기가 1만 8천톤이 발생하지만 이중 약 1만 3천톤만 수거하고 나머지 5천톤 이상을 수거하지 못하고 있다.

전용 수거선 현황을 보면 현재 전남(5)이 가장 많고 경남(2), 경북, 부산, 인천, 경기, 전북 등이 각 1척의 전용 수거선을 운영 중이다.

하지만 전국 3위의 해양폐기물 수거량을 기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용 수거선이 전무한 유일한 광역지자체로 확인됐다.

충남도에 따르면 폐어망·폐어구 등 해양폐기물이 선박 추진기에 감겨 항해가 불가능해지는'부유물 감김 사고'의 경우, 최근 2년간(2023-2024) 80건 이상이 보고된 것으로 나타났다.

어 의원은"충남은 해양쓰레기 발생량이 상위권임에도 불구하고 전용 수거선이 없어 신속한 해상 수거와 재난 대응에 심각한 공백이 발생하고 있다"며"충남의 해양폐기물 관리체계 개선과 해상 부유쓰레기로 인한 선박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전용수거선 도입에 적극 앞장서겠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 현장르포' 뉴스人
  • 줌인(Zoom in)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
댓글

대전일보 댓글 정책에 따라 대전일보에서 제공하는 정치섹션 기사의 본문 하단에는 댓글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