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을 겨냥한 납치·감금·살인 등 강력 범죄가 잇따르자 한국 정부가 여행경보를 격상한 가운데, 현지 관광업계가 "캄보디아를 위험국으로 일반화하며 관광과 범죄를 구분하지 않았다"라고 반발했습니다.
셈 속헹 캄보디아 한국관광가이드협회장은 13일(현지시각) 현지 일간 매체 프놈펜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최근 캄보디아를 방문한 한국 관광객들은 모두 '안전하다'고 말했다"며 "한국 정부가 사기 범죄와 관광객 안전 문제를 혼동한 점이 유감스럽다"라고 밝혔습니다.
앞서 외교부는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 지역의 여행경보를 기존 2단계 '여행자제'에서 2.5단계 '특별여행주의보'로 상향 조정한 바 있습니다.
이에 대해 셈 협회장은 "한국인 관광객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지만, 지난 열흘 동안 캄보디아를 여행한 모든 한국 관광객은 안전하게 귀국했다"며 "피해자 대부분은 불법 취업을 목적으로 입국했다가 범죄를 당한 경우일 뿐인데, 이를 근거로 캄보디아 전체를 위험국으로 일반화하는 것은 안타깝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단순한 관광과 불법 취업 사기는 명확히 구분돼야 한다"라고 강조했습니다.
캄보디아 왕립학술원 국제관계연구소의 킨 피아 소장 역시 "한국 정부는 특정 국가만을 지목하기보다 모든 해외여행자에게 일반적인 주의를 당부해야 한다"며 "이 같은 외교적 압박은 양국 관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라고 비판했습니다.
캄보디아 정부도 한국 정부의 이번 대응이 자국을 겨냥한 '차별적 조치'라고 입장을 밝혔습니다.
터치 속학 캄보디아 내무부 대변인은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사기 사건은 캄보디아만의 문제가 아니다. 더 심각한 범죄가 벌어지는 나라들도 있다"며 "캄보디아는 정보 공유, 기술 지원 등 모든 형태의 국제 협력을 환영한다"라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