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82% "캄보디아 사태로 동남아 국가 여행 인식 달라져"

최경진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리얼미터 여론조사…응답자 56% "외교부 초동 대응 잘못해"
▲ 지난 22일(현지시간) 캄보디아 프놈펜 외곽에 위치한 한 범죄단지에 외곽에 철조망이 설치돼 있다. 연합뉴스
최근 캄보디아를 비롯한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잇따른 한국인 대상 범죄가 발생하면서 국내 여행객들의 동남아 여행 인식이 크게 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가 제보팀장 의뢰로 지난 21일 전국 18세 이상 50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2.4%가 "캄보디아에서 발생한 범죄 사태가 동남아 국가로의 해외여행 인식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고 답했다.

특히 만 18~29세 청년층에서는 '영향을 미쳤다'는 응답이 88.3%로, 다른 연령대보다 높은 비율을 기록했다.

자국민 대상 범죄에 대한 정부 대응 방향을 묻는 질문에는 '현지 정부와 협력 및 공조 수사에 집중해야 한다'는 의견이 34.7%로 가장 많았다. 이어 '외교 채널을 통한 강력 항의 및 재발 방지 협약 추진'이 27.5%, '군사작전 등 강력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응답은 25.2%였다.

외교부의 초동 대응 평가에서는 부정적인 인식이 우세했다. '잘못했다'는 응답이 56.0%로 '잘했다'(35.9%)보다 20.1%p 높았다.

이전 정부가 추진한 캄보디아 지원사업과 관련해 졸속 행정이나 이권 개입 등 비위가 있었을 것이란 주장에는 57.0%가 공감한다고 응답했고, 35.9%는 공감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향후 한국과 캄보디아 간 경제·개발 협력 방향에 대해서는 절반 이상인 52.9%가 '협력은 유지하되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고 답했다. '협력 관계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는 의견은 33.0%였다.

이번 캄보디아 사태를 계기로 2030 세대가 해외 취업 사기에 취약한 이유를 묻는 항목에서는 '국내 양질 일자리 부족'이 38.4%로 가장 높았으며, '임금 및 근로환경 불균형'(18.7%), '청년고용 정책의 부재'(15.7%), '정보 부족'(15.0%) 등이 뒤를 이었다.

이번 조사는 무선(100%) 무작위 생성 표집 틀을 활용한 임의 전화걸기(RDD) 자동응답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응답률은 4.4%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