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간 전국 대표 문단 등용문 자리매김

김진형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오늘 김유정신인문학상 시상식
한국 단편 소설의 거장 김유정을 기리기 위해 1995년 '김유정소설문학상'으로 시작된 김유정신인문학상이 올해로 30주년을 맞았다. 한국 문단의 등용문으로 자리매김한 김유정신인문학상의 31회 시상식은 23일 오후 3시 30분 김유정문학촌에서 열린다. 김유정문학촌과 강원도민일보가 공동으로 주관하는 김유정신인문학상은 단편소설 31명, 시 12명, 동화 13명 등 56명의 신인작가를 배출했다. 올해 응모된 작품은 소설 325편, 시 999편, 동화 139편으로 총 1463편의 작품이 접수돼 한층 높아진 문학열을 입증했다.

특히 문학상 출신 문인들의 작품 활동은 문단에 활기를 주고 있다. 서경희(22회) 작가는 지난 2023년 상금 3000만 원의 넥서스경장편작가상을 수상했으며, 이수안(25회) 작가는 제4회 자음과모음 경장편 소설상을 받았다. 이익훈(4회) 소설가는 2023 서울신문 신춘문예 희곡 부문에 선정됐으며 김이수(19회) 작가의 수상작 '위대한 유산'은 동명의 영화로 제작됐다.

엄정한 심사를 진행한 역대 심사위원들 또한 문학상의 권위를 높이는데 기여했다. 소설 부문은 전상국·한수산·오정희·윤후명·유재용·이순원·하창수·심상대·서영은·김미월 작가 등이 심사를 맡아 왔다. 시 부문은 정현종·이상국·고형렬 시인, 동화 부문은 임교순·홍종의·한정영 작가가 참여했다. 강릉 출신 김미월 작가는 1993년 강원도민일보가 주최한 김유정백일장의 첫 장원이기도 하다.

올해 심사위원에는 최수철·김희선 소설가, 김선우 시인, 원유순 아동문학가가 새로 합류했으며 고형렬 시인, 한정영 동화작가가 참여했다. 김희선 작가와 김선우 시인은 등단 당시 각각 최수철 작가와 고형렬 시인으로부터 심사를 받은 인연이 있다.

김유정신인문학상 수상작은 시대를 관통하는 보편성과 신인만의 진정성과 문제의식이 있는 작품이 뽑혀 문학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데 기여했다. 올해 소설 부문 수상작 '벅수'는 절제된 문장과 마지막까지 밀고 가는 서사로, 문단에 경향성에 신선한 충격을 주는 작품으로 평가된다.

최수철·김희선 소설가는 "문제의식을 갖추고, 상징성을 파고들면서 새로운 서사를 만들어내는 작품을 선정했다"고 말했다. 고형렬·김선우 시인은 "시를 향한 고전적 열망을 지닌 신인들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됐다. 시대 흐름과 사적인 고민, 그 중간에 존재하는 보편성을 봤다"고 했다. 김진형·이채윤 기자

#작가 #문단 #작품 #시인 #등용문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