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여성기업 지원 전면 확대… 강원 여성경제인 "실질적 판로 기대"

김혜정 기자 TALK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정부가 오는 2029년까지 공공기관의 여성기업 제품 구매액을 20조원으로 확대하고, 여성 창업과 기술개발, 수출 지원까지 전 주기에 걸친 지원을 강화하기로 하면서 강원지역 여성경영계의 기대가 커지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2일 '제2차 여성기업 활동 촉진 기본계획(2025~2029년)'을 발표하고, 여성기업의 창업부터 글로벌 진출까지 단계별 맞춤 지원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계획은 '여성기업 지원법'에 따른 5년 단위 법정 계획으로, 여성경제인의 성장 사다리를 촘촘히 만드는 것이 목표다.

중기부는 우선 매년 100억원 규모의 여성 전용 모태펀드를 출자하고, 정책자금과 신규 보증을 합쳐 연간 5000억원 규모의 금융 지원을 추진한다. 또 뷰티·푸드테크 등 여성친화 산업 창업을 적극 육성하고,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 등과 연계해 첨단 기술 분야의 여성 창업기업을 지원한다.

이와 함께 여성기업 전용 연구·개발(R&D) 과제를 신설하고, 업종별 디지털 전환(AX·DX) 프로그램을 확대해 스마트상점, 지능형 서비스 도입을 돕는다. 여대생·경력단절여성 등 생애주기별 창업 교육도 강화한다.

특히 임신·출산·육아기 여성 CEO를 위한 노란우산공제 출산대출과 1인 자영업자 출산급여 지원도 확대해 경영 공백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신흥 해외시장 진출 여성기업에는 수출바우처 가산점을 제공한다. 중기부는 이번 계획을 통해 여성기업 매출액을 지난해 626조원에서 2029년 800조원으로, 종사자 수는 542만명에서 600만명으로 확대할 것으로 내다봤다.

강원지역 여성경제인들은 정부의 장기 지원계획이 지역 여성기업의 성장 기반을 넓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신지용 한국여성경제인협회 강원지회장은 "공공기관의 여성기업 제품 구매를 20조 원까지 확대하겠다는 중기부의 계획을 환영한다"며 "인구소멸 시대에 여성기업의 성장은 지역과 국가경제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핵심 전략"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정책이 선언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판로 확대와 매출 성장으로 이어지길 바라며, 강원 여성기업이 미래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김혜정 기자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