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최고치 찍은 금값, 하루 새 5% 급락…은값도 7.6% 급락

윤종진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강원 춘천시의 한 금은방에는 한 손님이 골드바를 고르고 있다. 강원도민일보 자료사진
사상 최고가 행진을 이어오던 국제 금값에 제동이 걸렸다.

21일(현지시간) 로이터에 따르면 금 현물 가격은 이날 미 동부시간 기준 오후 1시 45분 현재 온스당 4115.26달러를 기록하며 전장 대비 5.5% 하락했다.

이는 2020년 8월 팬데믹 기간 이후 일일 기준 가장 큰 하락 폭이다. 뉴욕상품거래소에서 12월 인도분 금 선물도 온스당 4109.1달러로 전장 대비 5.7% 급락했다.

국제 금값은 올해 들어 약 60% 급등하며 랠리를 이어왔고 전날에도 온스당 4381달러선까지 오르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그러나 단기간 과열된 상승세 속에 미국 주요 기업들의 3분기 호실적이 이어지면서 투자심리가 회복되고 안전자산 선호가 약화되자 단기 차익 실현 성격의 매도세를 촉발했다. 여기에 주요 금 매수국인 인도가 최대 힌두교 축제 '디왈리'로 휴장에 들어가며 유동성이 감소한 점도 금값 하락 요인을 제공했다는 분석이다.

금속정보업체 키트코 메탈의 짐 위코프 선임 애널리스트는 투자자 노트에서 "이번 주 들어 시장의 위험선호 심리가 개선되며 귀금속 가격에 약세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날 국제 은 가격도 금보다 큰 폭으로 떨어져 은 현물은 온스당 48.49달러로 전장 대비 7.6% 급락했다.

투자자들의 관심은 오는 24일 발표될 미국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에 쏠리고 있다. 미 연방정부의 일시적 셧다운으로 주요 경제지표 발표가 중단됐으나 노동통계국은 당초 10월 15일에서 9일 연기된 24일에 CPI를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오는 28~29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가운데 CPI 결과는 향후 통화정책 방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금은 이자나 배당을 지급하지 않는 특성상 미국의 실질금리가 하락할 경우 상대적으로 가격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