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맥스, 17조원 '곱슬머리 시장' 정조준…사이언스코와 맞손

김다이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맞춤형 헤어케어 제품 개발 추진
곱슬모 전용 샴푸·에센스 출시 예고
코스맥스 독점 원료 개발도 착수
그래픽=비즈워치
코스맥스가 17조원 규모의 세계 곱슬머리 시장 공략에 나선다.

코스맥스는 지난 16일 글로벌 기능성 소재 기업 사이언스코(SYENSQO)와 곱슬머리 전용 제품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사이언스코는 1863년 벨기에에서 설립된 글로벌 소재 기업으로, 자동차·항공기 부품부터 화장품 원료까지 다양한 산업에 원료를 공급한다. 특히 화장품 분야에서는 식물 유래 모발 컨디셔닝 원료 등 모발용 소재 분야의 선두 주자다.

코스맥스는 이번 협약을 통해 사이언스코와 원료 및 연구 협력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 유럽과 미국 등 다인종 모발 연구 경험과 특화 소재를 접목하고, 코스맥스의 '코어링크-S(Corelink-S)' 기술을 적용해 끊어지기 쉬운 곱슬모의 취약점 개선에 나서기로 했다. 이와 함께 글로벌 패널단 대상 품평을 진행해 제품의 사용감과 성능을 검증할 예정이다.

코스맥스는 미국을 비롯한 해외 시장을 겨냥해 곱슬머리 전용 샴푸와 헤어 에센스 등을 선보일 계획이다. 더 나아가 곱슬머리와 두피에 대한 공동 연구를 통해 중장기적으로 코스맥스 독점 원료 개발에도 나선다.

지난 16일 경기도 성남시 코스맥스 사옥에서 열린 협약식에서 최경 코스맥스 대표(왼쪽)와 장-기 르엘로코(Jean-Guy Le-Helloco) 사이언스코 화장품 사업본부 사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코스맥스
이번 협약은 곱슬머리 시장의 성장 잠재력에 주목해 추진하게 됐다. 글로벌 헤어케어 시장에서 곱슬머리 제품은 필수 공략 분야로 꼽힌다. 직모가 일반적인 한국 및 동아시아와 달리, 미국은 인구의 50%, 중남미는 75%가 곱슬머리로 추정된다. 사이언스코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곱슬머리 시장 규모는 약 120억달러(약 17조원)에 달하며, 연평균 5~10% 성장세를 기록 중이다. 

코스맥스는 곱슬머리의 모발 형태와 두피 상태를 세분화해 맞춤형 제품 라인을 선보일 계획이다. 곱슬의 꼬임 정도에 따라 관리 난이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일반 제품을 사용할 경우 엉킴이나 손상이 가속화되고 두피에도 부담을 줄 수 있다. 코스맥스는 이러한 차이를 고려해 12가지 유형으로 모발과 두피를 분류, 각 유형에 특화된 제품을 개발할 예정이다.

최경 코스맥스 대표는 "사이언스코와 협업을 통해 코스맥스가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며 "모발관리 분야는 전체 화장품 시장의 20%를 차지할 정도로 중요도가 높은 만큼, 다양한 지역과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혁신 제품을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