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첨단기술로 무장한 K-방산, 하늘·땅·우주를 잇다

도다솔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ADEX 2025에 AI·무인·수소 모빌리티 집결
한화·현대차그룹 등 뜨거운 '첨단 기술 경쟁'
차세대 전략수상함./사진=도다솔 기자
국내 최대 규모 방산 전시회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가 20일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열렸다. 이번 행사는 35개국 600여개 기업이 참가한 역대 최대 규모로, 항공·우주·지상 전력까지 모든 영역에서 기술 경쟁이 치열하게 펼쳐졌다.행사장 전반에는 인공지능(AI)과 무인화, 우주기술이 융합된 차세대 국방 패러다임이 본격적으로 가시화된 모습이 뚜렷했다.

한화, AI로 무장한 자주국방 생태계 제시

한화는 이번 전시에서 'AI 디펜스 포 투모로우(AI Defense for Tomorrow)'를 주제로 육해공·우주를 아우르는 통합 무기체계를 공개했다. 3개 방산사(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시스템·한화오션)가 역대 최대 규모인 1960㎡ 부스를 마련하고 모든 무기체계에 AI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 전장 비전을 제시했다.

차세대 보병전투차량 K-NIFV./사진=도다솔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K-NIFV를 공개하며 차세대 장갑차 시장 공략에 나섰다. 이번 전시에서 처음 선보인 K-NIFV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독자 개발한 신형 장갑차로, 국내외 시장을 동시에 겨냥한 전략형 모델이다. 기존 장갑차 대비 기동성과 화력, 방호력, 운용 효율 등 전투 성능 전반이 향상됐으며 유지비 절감과 다목적 운용이 가능한 점이 특징이다. 회사는 K-NIFV를 차세대 핵심 수출 플랫폼으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PGM존에서는 천무 3.0에 탑재되는 자폭드론형 정밀유도무기 'L-PGW'를 비롯해 유무인 복합 지상차량 '테미스-K'와 차세대 자주포 'K9A3' 등 주요 전력들이 관람객의 관심을 모았다. 

이번 전시에서 한화는 KF-21 탑재 엔진보다 출력이 10~15% 향상된 '첨단 항공엔진' 국산화 프로젝트를 추진 중임을 밝혔다. 정부는 2027년 개발 착수를 목표로 14년간 3조60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며 스텔스 성능을 반영한 설계가 적용된다.

회사는 항공연구소 내 소재연구센터와 한국재료연구원 MOU를 통해 필수 엔진 소재를 이미 일부 국산화했으며 이번 ADEX에서 무인기용 5500파운드급 제트엔진과 1400마력급 피스톤엔진 등 독자 개발 엔진도 선보였다.

사진=도다솔 기자
한화오션은 해양존에 AI를 통해 다양한 위협에 신속 대응 가능한 '차세대 전략 수상함'을 전시했다. 한화시스템은 SAR 위성과 AI 영상분석 기술을 결합한 독자 감시·정찰 역량을 강조하며 '국방 소버린AI' 비전도 공개했다. 또 미국 제너럴 아토믹스(GA)와 협력해 단거리 이착륙(STOL) 무인기 '그레이 이글 STOL'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 2027~2028년 시제기 비행을 목표로 무인기 기체 개발에도 본격 착수했다.

현대차그룹, 지상·수소·우주까지 전선 확장

현대차그룹은 기아·현대로템·현대위아가 함께 통합관을 꾸려 '지상에서 우주까지'의 기술 스펙트럼을 선보였다.

사진=도다솔 기자
현장에서는 기아가 공개한 군용 지휘차가 단연 눈길을 끌었다. 픽업트럭인 '타스만'을 기반으로 제작된 이 차량은 오프로드 주행성능과 통신장비를 결합해 작전 운용능력을 높인 모델로, 올해 군 표준 지휘용 차량으로 채택됐다. 이 밖에도 차세대 중형표준차(KMTV), 소형전술차(KLTV) 등 전술차 라인업이 함께 전시됐다.

사진=도다솔기자
현대로템은 수소 기반 무인 모빌리티 '블랙 베일(Black Veil)'을 처음 공개하며 지상 전동화 솔루션을 제시했다. 또 폴란드형 K2 전차(K2PL), 수소 차륜형장갑차, 덕티드 램제트 엔진 등 우주발사체용 핵심 엔진 기술도 함께 선보였다. 

대한항공, 유무인 복합 무인기 3종 첫 공개

사진=도다솔 기자
대한항공은 이번 ADEX에서 저피탐 무인편대기(LOWUS)·중형 타격 무인기·소형 협동 무인기 등 3종의 무인기를 처음 공개했다.

특히 저피탐 무인편대기는 유인 전투기와 다수의 무인기가 함께 편대를 이루는 차세대 유무인 복합 체계의 핵심으로, 국내 최초로 대형 제트 엔진 기반 저피탐 기능을 구현했다. 중형 타격 무인기는 국방과학연구소와 공동개발 중으로 내년까지 연구개발을 완료할 계획이다.

대한항공은 AI 기반 자율임무 기술을 무인기에 적용하는 연구도 병행 중이다. 미국 안두릴(Anduril) 등 글로벌 AI 기업과 협력해 스스로 판단하는 무인기 운용체계를 구현한다는 목표다. 또한 50년 넘게 축적한 군용기 MROU(정비·개조·업그레이드) 역량을 기반으로 전자전기·항공통제기·UH-60 헬기 성능개량 로드맵을 제시하며 미 국방부의 RSF(지역거점운영유지) 아태지역 파트너로서의 입지도 강조했다.

'탐지–방어–지휘'로 완성한 K-방공망 비전

중형무인기 공통 플랫폼(MUCP)./사진=도다솔 기자
LIG넥스원은 '변화의 50년, 도약할 50년'을 주제로 항공·우주·AI 기반 전장을 아우르는 5대 구역 전시를 선보였다. 정지궤도 위성 '천리안5호'와 초고해상도 SAR 위성, L-SAM·천궁Ⅱ·해궁·신궁 등으로 구성된 'K-방공망 벨트'를 중심으로 다층 방공체계의 완성도를 강조했다.

KF-21 무장체계도 첫 공개됐다. 장거리 공대지 유도탄과 단·장거리 공대공 유도탄, 모듈형 유도탄(L-MSM) 등 핵심 무기와 함께 전자전기 형상이 전시돼 전자전 능력을 부각했다. 회사는 또한 중동·유럽 등 맞춤형 방공망 수출 전략을 소개하며 K-방산 수출의 주도권 확보를 선언했다.

사진=도다솔 기자
KAI는 AI와 증강현실을 융합한 차세대 공중전투체계를 공개했다. KF-21 시뮬레이션 영상과 함께 다목적 무인기 AAP 실물이 처음 전시돼 공중전력의 효율성을 높일 핵심 기술로 주목받았다.

소형무장헬기(LAH)와 함께 유무인 복합체계 'Heliborne MUM-T' 콘셉트도 공개됐으며 AI 조종사와 교전을 체험할 수 있는 'AI 컴뱃 파일럿(ACP)' 시뮬레이터는 관람객 체험이 집중됐다.

정비 지원 구역에서는 실시간 스트리밍과 VR 기술을 결합한 AI 정비체험관을 선보였고 우주 존에서는 초소형 위성부터 차세대 중형위성까지 KAI의 뉴 스페이스 역량이 공개됐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