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단 요란했지만 실질 피해 '미미'할 전망
업계 "미중 맞불용 정치적 제스처" 분석
미중 맞불전에 낀 한화오션 …왜?
중국이 거론한 제재 대상은 △한화쉬핑(Hanwha Shipping LLC) △한화필리조선소(Hanwha Philly Shipyard Inc.) △한화오션USA인터내셔널(Hanwha Ocean USA International LLC) △한화쉬핑홀딩스(Hanwha Shipping Holdings LLC) △HS USA홀딩스 등 5곳이다.
중국은 이들 법인이 미국 정부의 301조 조사에 협조하고 지지해 자국의 주권·안보·발전 이익을 침해했다고 주장하며 중국 내 거래와 협력을 전면 금지했다.
이번 조치는 미국이 중국산 선박에 항만세(입항 수수료)를 부과한 데 대한 보복으로 풀이된다. 중국은 같은 날부터 자국 항만에 입항하는 미국 선박에 수수료를 부과하며 맞대응에 나섰다.
중국 입장에서는 이번 조치를 통해 두 가지 정치적 효과를 노린 것으로 보인다. 먼저 미국 주도의 조선·해운 제재에 맞대응할 능력이 있다는 시위다. 실제 타격보다는 '우리도 보복할 수 있다'는 상징적 시그널을 국제사회에 보낸 셈이다.
또 한화의 미국 내 입지를 견제하는 간접 경고 성격이다. 한화그룹의 조선 계열사 한화오션은 필라델피아 조선소 인수를 통해 미국 해군 조선 프로젝트에 참여 중이다. 중국 입장에서는 한화가 미국 내 조선·방산 분야에서 존재감을 키워가는 흐름에 일종의 눈치주기성 메시지를 던진 것으로 보인다.
한화오션 측은 "중국 정부의 조치가 당사에 미치는 사업적 영향에 대해 면밀히 검토 중"이라는 입장이다.
힘 대 힘의 싸움
미국의 항만세 부과는 중국 조선·물류 기업에 실질적 타격이 사실상 미미하다. 중국 선박의 미국 입항 비중 자체가 낮기 때문이다. 또 대부분의 중국 조선소는 자국 내 건조 물량과 제3국 수주 비중이 높아 미국 시장 의존도가 크지 않다.
중국의 제재 역시 사정은 비슷하다. 제재 명단에 오른 한화오션의 미국 법인들은 대부분 현지 투자·운영 법인으로 중국과의 거래선이 거의 없어 사업적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게 업계 중론이다.
실제로 제재 명단 5곳 가운데 한화오션이 직접 지배하는 법인은 한화오션USA인터내셔널 한 곳뿐이다. 이 법인은 신성장 투자와 미국 사업 관리를 담당하는 100% 종속회사로, 전액 출자했다.
나머지는 한화시스템의 자회사이거나 공동출자 형태로 연결돼 있다. HS USA홀딩스는 한화시스템이 지분 100%를 보유한 미국 자회사로, 해외 자회사 관리 역할을 맡고 있다. 한화필리조선소의 지분 60%는 한화시스템이 직접 보유하고 있으며 나머지 40%는 한화오션이 보유한 관계기업이다. 한화쉬핑은 한화오션 50% 보유의 공동기업, 한화쉬핑홀딩스는 해운 관련 현지 법인 구조의 하위 법인으로 분류된다.
한 조선업계 관계자는 "한화오션이 미국 정부 프로젝트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상징적 제재 명단에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며 "실질적 피해는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