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매출보다 손실 큰데…대기업 투자 확대 괜찮나

안준형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HD현대로보틱스, 자금조달 검토
현대차·한화·LG·SK 등 올 투자 강화
"성장 가능성 크지만, 中경쟁 치열"
올해 들어 대기업들이 미래 먹거리로 낙점한 로봇 사업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다. 산업용 로봇팔, 인간 형태의 휴머노이드 등 급성장하는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다. 이 로봇 회사 대부분은 매출보다 손실 규모가 큰 상황으로, 당분간 대주주의 지원은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사진=이명근 기자 qwe123@
로봇에 꽂힌 대기업들…잇단 자금 수혈

25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로보틱스는 현재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다양한 자금조달 방안을 검토 중이다. 자본시장에선 HD현대로보틱스가 상환전환우선주(RCPS)로 2000억원을 조달할 것으로 알려졌다. 기업공개(IPO)를 염두에 두고 투자를 유치하는 셈이다.

HD현대로보틱스는 2020년 HD현대에서 물적분할한 산업용 로봇회사다. 당시 HD현대로보틱스가 KT로부터 500억원을 투자받는 과정에서 회사 가치를 5000억원으로 평가받았다. 올해 투자 유치 과정에서 회사 가치는 1조8000억원대로 높아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달 19일 한화로보틱스는 300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실시했다. 이 로봇회사의 주주 한화와 한화호텔앤드리조트는 보유 지분율대로 각각 204억원, 96억원을 투자했다. 출자 후 지분율은 한화 67.97%, 한화호텔앤드리조트 32.03%로 기존과 같다.

한화로보틱스는 2023년 한화가 로봇·무인반송장치(AGV) 사업을 현물출자하고 한화호텔앤드리조트가 200억원을 현금 출자해 설립했다. 이번 증자는 회사 설립 이후 첫 증자다. 

현대차는 이번달 8일 미국 투자·신사업 중간 지주사 HMG글로벌 유상증자에 2189억원을 수혈했다. 현대모비스도 지난달 '2025년 2분기 경영실적' 자료를 통해 HMG글로벌 유상증자에 1억600만 달러를 투자하겠다고 공개했다. 

HMG글로벌은 미국 로봇회사 보스턴 다이내믹스 지분 54.72%를 보유한 지주사로, HMG글로벌 지분은 △현대차 49.5% △기아 30.5% △현대모비스 20% 등 그룹이 100% 갖고 있다. 이번 투자금은 HMG글로벌을 거쳐 보스턴 다이내믹스에 투입될 예정이다.

두산로보틱스는 지난달 미국 자동화 솔루션 회사 원엑시아(ONExia)를 356억원에 인수했다. 기존 주주로부터 인수한 원엑시아 지분(87.98%) 거래대금 2199만 달러, 회사에 새 자금으로 투입되는 유상증자 390만 달러 등이다. 향후 두산로보틱스는 잔여 지분 12.02%를 301만~440만 달러에 인수할 수 있는 옵션도 갖고 있다. 

LG전자는 지난 5월 콜옵션(매도청구권)을 통해 미국 자율주행 서빙로봇회사 베어로보틱스(Bear Robotics)와 그 종속회사 지분을 2658억원에 추가 인수했다. LG전자가 보유한 베어로보틱스 지분은 기존 24.9%에서 61.1%로 늘었다. 이를 통해 베어로보틱스는 LG전자의 관계기업에서 종속기업으로 재분류됐다. LG전자와 베어로보틱스가 하나의 재무제표로 연결되며, 사실상 인수가 마무리된 것이다.

LG전자는 지난해 베어로보틱스 지분 24.9%를 561억원에 인수한 데 이어 이번에 콜옵션을 행사해 지분 절반 이상을 확보했다. 

SK온의 미국 자회사 SK배터리아메리카는 지난 4월 코스닥 상장사 유일로보틱스 지분 23%를 5년 내 추가 인수할 수 있는 콜옵션, 이사진 추가 선임권 등이 포함된 최대주주 변경 주주간계약을 맺었다. 지난해 SK배터리아메리카가 유일로보틱스 지분 13.47%를 372억원에 인수한 이후 경영권을 온전히 확보할 수 있는 계약을 맺은 것이다. 콜옵션을 통해 인수할 지분 가치는 1111억원 수준으로 평가된다.

누적되는 적자, 치열해지는 경쟁

이 로봇 회사 대부분은 매출보다 당기순손실 규모가 큰 상황이다. 올 상반기 보스턴 다이내믹스 매출은 669억원으로, 당기순손실 2419억원 규모를 넘어섰다. 다른 회사들의 반기 실적을 보면 △한화로보틱스 매출 47억원, 당기순손실 134억원 △두산로보틱스 매출 98억원, 당기순손실 260억원 △유일로보틱스 매출 172억원, 당기순손실 180억원 등이다. 현대차의 자동화 공정을 맡아온 HD현대로보틱스 상황은 그나마 나은 편이다. 올 상반기 HD현대로보틱스 매출은 1133억원, 당기순손실은 44억원을 냈다. 

성장 잠재력이 무궁무진한 로봇 사업이 상용화되기 전까지 대규모 투자가 불가피하지만, 시장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공장 자동화, 일상 생활에 도입되는 로봇 등 성장 가능성은 크지만, 중국 로봇회사와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며 "다른 산업과 마찬가지로 가격 경쟁력에선 이미 중국에 밀리고 있다"고 전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