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으로 똘똘 뭉친 국힘…지선 앞두고 효과는 '미지수'

이하린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野, 연일 李·與 부동산 정책 '맹폭'
"쇄신없는 공격은 무의미"
오히려 '무당층' 늘어난다는 분석 나와


국민의힘이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맹폭하며 대여 공세 총력전에 나섰다. 사진은 발언하고 있는 장동혁 대표(왼쪽에서 세번째). /배정한 기자


이례적으로 당 대표가 직접 특별위원회(특위) 위원장까지 겸하는 등 국민의힘이 '부동산' 의제에 힘을 쏟고 있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10·15 부동산 정책을 고리로 대여(對與) 공세 총력전에 나선 모양새다. 중도·무당층의 표심을 자극해 당 지지율을 최대한 끌어올리고자 하는 의도지만, 실제 효과가 있을지는 미지수다.

부동산 정책 정상화 특위 위워장을 맡은 장동혁 대표는 22일 특위 임명장 수여식 및 1차 회의에서 "특위 위원장을 직접 맡은 것은 처음"이라면서 "앞으로는 이런 일은 자주 없을 것 같다"고 못 박았다. 그러면서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을 "586 정권 위선자가 자행한 잘못된 사회주의 경제 실험"이라고 규정했다.

국민의힘 서울시당도 '주거 사다리 정상화 특위'(위원장 김재섭)를 구성하고 이날 국회 본관 계단 앞에서 '이재명 정부 10·15 주거 재앙 규탄대회'를 진행했다. 앞서 장 대표는 같은 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국민의힘 전국여성지방의원 워크숍'에 참석해 참가자들과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규탄하는 피켓 시위도 진행했다. 오는 24일에는 당 지도부 및 부동산 특위와 서울시 간 간담회도 진행될 예정이다.

박성훈 수석대변인은 이날 부동산 특위 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부동산 문제는 대한민국 전체로 보면 크게 서울 중심의 주택 공급난과 그 외 지역에서 주택 과다로 인한 미분양 대책이 있다"며 "중앙당 차원에서는 종합적으로, 서울시당은 서울시 차원의 대책을 중심으로 집중 발굴하고 문제점을 제기하는 활동을 이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와 참석자들이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국민의힘 전국여성지방의원 워크숍에서 참석자들과 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뉴시스


국민의힘이 부동산 관련 정책을 비롯해 정부·여당의 실책을 공격하는 등 전면 공세에 나선 이면에는 민심을 흔들어 정체된 지지율을 회복하겠다는 의도가 깔려있다. 이들은 이재명 정권의 고위 공직자들이 규제를 강화한 지역에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는 내용을 연일 강조하면서 "위선·내로남불"이라고 공격했다.

그러나 정치권에서는 국민의힘이 부동산을 집중 공격하는 것이 이재명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을 끌어내는 데는 도움이 되더라도 정작 정체된 당의 지지율을 높이는 데는 유의미한 효과가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결국 내년 6·3 지방선거까지 아무도 지지하는 당을 선택하지 않는 '무당층'이 늘어날 것이란 분석이다.

실제로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시행해 지난 20일 공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수행 긍정 평가는 52.2%로 전주 대비 1.3%포인트(P) 떨어졌고, 민주당 지지율도 0.7%P 하락한 46.5%로 집계됐다. 이에 반해 국민의힘은 36.7%를 기록하면서, 양당 간 격차가 11.3%P에서 9.8%P로 다소 줄었지만 뚜렷한 추세 변화는 아니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이날 <더팩트>와의 통화에서 "민주당의 지지율이 떨어지더라도 그 지지가 국민의힘으로 옮겨가고 있지 않다"며 "국민의힘이 아무리 정부·여당의 부동산 문제를 지적하더라도 지금처럼 이미지 관리에 실패하면 결국 무당층만 늘어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그는 "장동혁 대표의 윤석열 전 대통령 면회 논란 등으로 당의 이미지가 악화된 상황에서 지방선거를 앞두고 민주당이 위헌 정당 해산 심판이 제기하게 되면, 국민에게 ‘내란' 프레임이 더 강하게 작용하게 될 것"이라면서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실제 선거에서도 사표 방지 심리가 작동해 국민의힘에 불리하게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기사에 인용된 여론조사는 모두 무선 자동응답 방식으로 이뤄졌다. 대통령 국정 수행 지지도 조사는 지난 13~17일 전국 18세 이상 251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로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0%P, 응답률 4.7%다. 정당 지지도 조사는 지난 16~17일 전국 18세 이상 1008명을 대상으로 진행됐고,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 응답률 4.4%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