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 앞두고 마지막 시험대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서울시 국정감사가 오는 23일 서울시청에서 열린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둔 만큼 오세훈 서울시장의 역점 사업을 둘러싼 송곳 검증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명태균 게이트' 의혹의 핵심 인물인 명태균 씨가 증인으로 출석해 오 시장과의 불편한 대면이 예상된다.
국회 행안위는 오 시장이 추진한 주요 사업을 면밀히 살펴볼 예정이다. 최근 운항이 중단된 '한강버스' 사업이 대표적이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행안위원들은 김선직 ㈜한강버스 대표와 선박 건조업체 가덕중공업 손정일 대표를 국감 증인으로 채택했다. 반면 ㈜이크루즈 대표와 은성중공업 대표도 증인으로 채택됐으나, 이들은 출장을 이유로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다.
한강버스는 지난 3월 자체 시범 운항과 시민 체험 운항을 거쳐 지난달 18일 정식 운항을 시작했다. 그러나 선체 고장 등으로 세 차례 운항 차질이 발생하면서 한 달간 '무승객 시범운항'을 진행 중에 있다. 지난달 22일에는 102호·104호 선박의 전기 계통 이상으로 운항이 중단됐고, 26일에는 104호가 방향타 문제로 회항했다.
더불어민주당은 한강버스를 두고 '혈세 낭비'라며 강도 높은 공세를 이어가고 있다. 한정애 정책위의장은 지난 21일 "오 시장은 2007년 시행된 한강수상택시로 매년 5억~7억원의 혈세를 낭비한 바 있다"며 "이번 한강버스도 제2의 수상택시와 같이 치정용 정치쇼 전철을 밟으며, 혈세버스로 전락하는 것이 아닌지 우려스럽다"고 비판했다. 오 시장은 지난 20일 국회 국토교통위 국정감사에서 "한강버스과 관련해 안전 문제가 다시 발생하면 그 정치적 책임은 내가 져야 할 것"이라며 "안전에 대한 부분을 최대한 챙기겠다"고 했다.
명태균 씨의 증언도 주목된다. 오 시장은 2021년 4·7 서울시장 보궐선거 당시 사실상 명 씨가 운영한 여론조사업체 미래한국연구소로부터 비공표 여론조사를 제공 받고, 해당 비용을 후원자로 알려진 김한정씨가 당시 실무자인 강혜경씨 계좌로 3300만원을 대납하게 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명씨는 검찰 조사에서 오 시장에게서 "나경원을 이기는 조사가 필요하다"는 요청을 받았다고 진술했다. 반면 오 시장 측은 "명 씨가 의도적으로 접근해 두 차례 만난 이후 관계를 단절했다"라며 명 씨의 주장이 허위라는 입장이다. 검찰 수사 역시 별다른 진척이 없는 상태다.
주요 쟁점을 두고 양측의 진술이 엇갈리는 가운데 오 시장과 명 씨가 국감장에서 직접 대면하게 된다.
명 씨는 지난 15일 이번 서울시 국감과 관련해 "사실대로 이야기해서 억울한 사람이 없도록 할 것"이라며 "내 생각을 말하는 게 아니라 나도 조사를 다 받았지 않았느냐"라고 토로했다. 또 "억울함이 없어야 된다는 걸 그대로 이야기하겠다"고 재차 말했다.
명씨는 이날 이해식 민주당 위원의 1차 질의가 끝난 후인 오후에 국감 증언대에 설 예정이다.
전세사기 피해를 당한 양치승 트레이너와 조성명 강남구청장도 각각 참고인과 증인 신분으로 국감장에 선다. 위성곤 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양 씨는 2019년 논현동 공영주차장 복합건물 내 상가에 입점했으나, 건물 시행사와 구청으로부터 해당 시설이 기부채납형 공공시설이라는 사실을 안내받지 못했다. 이후 강남구는 2022년 '운영기간 종료'를 이유로 퇴거명령을 내렸다. 양 씨는 3억5000만 원의 보증금과 10억 원이 넘는 시설비를 회수하지 못한 채 폐업했다.
이외에도 TBS 지원 중단 문제와 서울시 영테크 사업 논란을 둘러싸고 민주당의 공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