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KAIST 공동 연구팀, '조절 T세포' 변화로 치료 반응 낮은 환자 조기 선별
난치성 유방암으로 꼽히는 삼중음성유방암은 재발과 전이 위험이 커 항암치료가 치료의 핵심이다. 문제는 일반 유방암에서 효과적인 표적항암제가 삼중음성유방암에서는 거의 효능을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에 의학계는 면역항암치료를 새로운 돌파구로 주목하고 있다. 그러나 면역항암치료는 환자 간 치료 반응의 편차가 매우 크고, 수개월에 걸친 치료 끝에도 효과가 미미한 경우가 적지 않다. 이로 인해 환자가 시간과 체력을 허비하는 한계가 지적되고 있다.
최근 국내 의료진이 면역항암치료의 효과가 낮을 수 있는 환자를 조기에 선별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냈다. 분당서울대병원과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의과학대학원 공동 연구팀은 진행성 삼중음성유방암 환자에서 치료 초기에 혈액 내 면역세포(조절 T세포)의 변화를 관찰하면 치료 반응이 떨어지는 집단을 조기에 구별할 수 있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연구팀은 임상시험에 참여한 환자 65명을 대상으로 혈액 속 면역세포 변화를 분석했다. 그 결과, 치료 효과가 거의 없었던 환자군에서는 치료 1주 차부터 조절 T세포가 빠르게 증식하는 특징적 패턴이 나타났다. 면역 세포가 암을 파괴하도록 하는 면역항암제의 기전에 저항하는 반응이 치료를 시작한 시점부터 혈액검사에 나타난 것이다.
서경진 분당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는 "삼중음성유방암은 공격성이 매우 높은 난치성 유방암으로, 자신에게 맞는 치료법을 빨리 찾는 것이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친다"며 "이번 연구는 간단한 혈액검사로 면역항암 치료 반응을 조기에 예측할 수 있는 지표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을 수립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삼중음성유방암은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HER2 단백질에 대한 수용체가 음성인(삼중음성) 유방암의 세부 유형이다. 상대 생존율이 약 70%에 불과해 일반적인 유방암(생존율 약 95%)보다 예후가 크게 떨어지며, 전체 유방암의 약 15%를 차지한다. 국내 환자는 연간 4000명 이상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