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무득점에도, 민심 '노란불'…李대통령 지지율 왜 정체됐을까

박성의 기자
입력
수정 2025.10.20. 오후 10:05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박성의 기자 sos@sisajournal.com]

정부 출범 직후 70% 목전에 뒀던 李대통령 지지율
최근 李-與지지율 하락세, 중도·무당층 민심 이탈 가속
대선 구도 재연 조짐 속, 지방선거 앞둔 여권 긴장


여름 내 뜨겁던 이재명 대통령의 지지율이 가을 찬바람과 함께 한풀 꺾인 모습이다. 최근 이 대통령 지지율이 '50%선 박스권'에서 횡보하고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다수 발표됐다. 같은 기간 윤석열 정부 때보다 높은 수준이지만, 출범 초 70%를 목전에 뒀던 지지율을 고려하면 뚜렷한 하락세다.

눈에 띄는 지점은 국민의힘 지지율이 별다른 상승세를 보이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국민의힘도 싫지만, 민주당과 대통령도 싫다'는 중도·무당층이 늘었다는 분석이 나오는 가운데, 대통령실과 여당도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민심의 향배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 ⓒ연합뉴스


요원해진 70% 지지율…대통령-여당 지지율 동시 하락

12·3 비상계엄 역풍을 타고 닻을 올린 이재명호(號)는 출범 직후 비교적 안정적인 항해를 이어왔다. 여론조사상 국정 지지율은 60% 안팎에서 출발해 석 달 동안 큰 등락 없이 유지됐다. 특히 윤석열 전 대통령 국정 지지율이 3개월 만에 20%대로 떨어진 것과 대비됐다. 정치적 불확실성과 정권 교체 피로감이 뒤섞인 상황에서 '극단 대신 실용', '정쟁보다 민생'을 내세운 이 대통령의 행보가 중도층의 신뢰와 기대를 일정 부분 확보했다는 분석이 많았다.

여기에 국민의힘 지도부가 친윤(親윤석열)계 장동혁 대표 체제로 전환하자, 여권 일각에서는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이 더 오를 것"이라는 기대섞인 전망도 나왔다. 장 대표 체제 이후 국민의힘이 오른쪽으로 쏠리며 중도층 이탈이 가속화될 경우, 이 대통령이 그 공백을 흡수할 수 있다는 계산에서다. 반대로 야권 내부에선 중도 영토를 뺏길 시 '총선→대선→지방선거' 3연패 늪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았다.

그러나 이재명 정부 출범 후 100여 일이 지난 지금, 여론의 추이는 당초 예상을 다소 벗어난 모습이다. 이 대통령 지지율이 50%선에서 횡보하는 가운데, 이 대통령 국정 운영 신뢰도와 여당 지지율이 동시 하락하고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발표되면서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13~15일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16일 공개한 전국지표조사(NBS)에 따르면, 이 대통령의 국정운영을 긍정 평가한 응답자는 56%로 집계됐다. 국정 운영 긍정 평가는 2주 전 실시한 직전 조사(9월29일~10월1일) 대비 1%포인트(p) 하락한 것으로, 9월 1주차 조사에서 62%를 기록한 이후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부정 평가 응답은 35%를 기록해 직전보다 1%p 올랐다.

이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해서는 '신뢰한다'는 응답이 57%,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39%였다. NBS 기준 취임 후 이 대통령의 국정운영 신뢰도는 63%(6월4주차)→64%(7월4주차)→58%(8월3주차)→59%(9월3주차)→57%(10월3주차)로 소폭 하락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같은 기간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29%(6월4주차)→28%(7월4주차)→37%(8월3주차)→34%(9월3주차)→39%(10월3주차)로 10%p가까이 올랐다.

다른 여론조사에서도 유사한 민심의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13∼17일 전국 18세 이상 251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 대통령의 국정수행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는 52.2%였다. 직전 조사 대비 1.3%p 하락했다. 반면 이 대통령의 국정수행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는 44.9%로 직전 조사 대비 1.6%p 올랐다.

험지로 꼽히는 TK(대구·경북)뿐 아니라 '텃밭' 호남에서도 지지율이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TK지지율은 35.0%로 8.6% 급락했고, 진보 강세 지역인 광주·전라에서도 5.5%p 하락한 74.4%를 기록했다. 이념 성향별로는 중도층이 51.7%로 3.5%p 하락했다. 보수층은 3.0%p 오른 27.2%를 기록했지만 여전히 부정 평가(71.0%)가 압도적이었다.

더불어민주당의 정청래 대표와 김병기 원내대표가 10월2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사법개혁특별위원회 사법개혁안 발표에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野 지지율도 보합세…'정치'에서 멀어진 민심, 왜?

대통령에 등 돌린 민심을 야당이 온전히 흡수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조기 대선 전후와 비교하면 최근 국민의힘 지지율을 대체적으로 상승한 모습이지만, 여전히 민주당에 비해 큰 열세를 보이고 있다. NBS 조사 결과 민주당 지지율은 직전 조사와 비교해 2%p 하락한 39%, 국민의힘은 1%p 오른 23%였다. 리얼미터가 지난 16~17일 전국 18세 이상 1008명을 대상으로 한 정당 지지도 조사에서는 민주당은 46.5%, 국민의힘이 36.7%로 집계됐다.

다만 격차를 감안하더라도 최근 '민심의 흐름'은 정권 초와 비교해 여당에 우호적이지 않다. 이재명 정부 출범 후 NBS 조사에서 민주당 지지도가 40% 아래로 떨어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리얼미터 조사 기준으로는 직전 조사(지난달 25~26일)보다 민주당 지지율이 0.7%p 낮아졌고 국민의힘이 0.8%p 오르면서 양당 지지율 격차가 11.3%p에서 9.8%p로 한 자리 대까지 좁혀졌다.

눈에 띄는 점은 이 기간 국민의힘이 중도층을 흡수할만한 '이벤트'를 만들지는 못했다는 것이다. 이에 정치권에선 최근 민심의 변화가 국민의힘의 '득점'으로 나타난 흐름이 아닌 정부 여당의 '실점'에서 촉발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국민의힘 한 원내관계자는 "여야 모두 인정하는 지점은 지금은 '이재명의 시간'이란 것"이라며 "민심이 오른쪽으로 움직이든, 왼쪽으로 움직이든 그 책임은 입법권과 행정권을 모두 쥔 정부 여당에 있다"고 말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여당이 추진한 '3대 특검'과 '3대 개혁(사법·검찰·언론 개혁)'이 범여권 지지층을 넘어서는 대국민적 공감대를 충분히 얻지 못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된다. ▲검찰청 폐지 법안 강행 처리 ▲조희대 대법원장의 '대선 개입' 의혹 제기 ▲방송3법 등 언론 관련 입법 추진이 정부 국정 운영에 일부 부담이 된 것 아니냐는 시각이다.

또 최근 불거진 ▲이진숙 전 방송통신위원장 체포·석방 논란 ▲민중기 특검 수사 중 발생한 '양평 공무원 사망' 등으로 범보수 지지층 중 일부가 집결하고,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캄보디아 납치·감금 사태 대응 ▲10·15 부동산 대책 등으로 중도층의 민심이 일부 이탈했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리얼미터는 "추석 연휴 이어진 한미 관세협상 난항, 전산망 마비 중 예능 프로그램 출연 등이 맞물려 주 초부터 (지지율이) 하락세를 보였다"며 "주 중반에는 캄보디아 납치·감금 사태에 대한 정부 대응 지연 비판, 고강도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확산된 전세난 우려로 50% 초반대에서 정체하는 양상을 나타냈다"고 분석했다. 또 민주당에 대해서는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율 하락세와 맞물려 국정감사 파행 등 정쟁에 대한 실망감이 확산했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 지지율이 대선 당시 득표율(49.42%)에 근접하면서 현 정부의 지지 기반이 다시 '선거 때의 구도'로 회귀하고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대선 때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가 얻은 득표율(41.15%)을 고려하면 대선 당시 이 대통령을 지지하지 않았던 표심이 다시 결집하고 있다는 신호로도 읽힌다. 정권 출범 초 기대감으로 확장됐던 중도 지지가 빠져나가고, 지지층 중심의 '콘크리트 여론'만 남는 구조로 재편되고 있다는 해석이 정치권 안팎에서 제기된다. 

홍형식 한길리서치 소장은 "대통령 및 여당 지지율과 야당 지지율의 격차가 추석 전보다 좁혀지게 되면 집권 첫해부터 국정운영이 어려워진다"며 "국민의힘을 '내란 당'으로 배제시키려는 민주당과 '윤석열 어게인'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국민의힘이 서로 맞물리면, 대통령 지지율도 실용주의적 중도층 이탈로 하락세가 나타날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NBS 조사는 휴대전화 가상번호(100%)를 이용한 전화 면접으로 이뤄졌고, 응답률은 15.8%,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리얼미터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도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0%p, 정당 지지도 조사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리얼미터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도 조사 응답률은 4.7%, 정당 지지도 조사 응답률은 4.4%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