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루미늄·희토류·반도체 공급난 '삼중고'
WSJ "완성차 생산 중단 현실화"
미국 주요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부품 부족으로 생산라인을 멈춰 세우고 있다. 희토류와 알루미늄, 반도체 공급망 불안이 동시에 불거지면서 자동차 산업 전반이 흔들리는 추세다.
19일(현지 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스텔란티스의 지프 SUV를 생산하는 미시간주 공장의 조립라인이 지난주 중단됐다. 회사 측은 부품 부족이 원인이라고 밝혔지만 구체적인 사유는 공개하지 않았다. 전미자동차노조(UAW)는 알루미늄 부족이 생산 중단의 직접적인 이유라고 설명했다.
WSJ은 같은 이유로 포드의 공장 3곳에서도 생산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알루미늄 공급난은 지난달 뉴욕주 오스위고에 있는 알루미늄 공장 화재에서 비롯됐다. 오스위고 공장은 내년 초까지 가동이 중단될 예정으로 일부 포드 모델과 지프 SUV의 생산 일정도 지연되고 있다.
WSJ이 인용한 업계 분석에 따르면, 오스위고 공장을 운영하는 노벨리스는 미국 자동차 산업에 쓰이는 알루미늄 시트의 약 40%를 공급한다. 생산 중단의 여파는 포드의 주요 SUV 생산라인으로 확산되고 있다.
포드는 켄터키 트럭 공장에서 익스페디션과 링컨 네비게이터 조립 중단을 오는 26일까지 연장할 예정으로 일부 F시리즈 슈퍼듀티 트럭 생산도 축소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포드 측은 "노벨리스와 협력해 차질 최소화를 위한 대안을 모색 중"이라고 밝혔다.
중국의 희토류 통제 강화와 반도체 패권 경쟁 역시 미국 자동차 업계의 부담을 키우고 있다. 일부 제조업체는 희토류 자석을 확보하기 위해 미국에서 생산한 모터를 중국으로 보내 다시 들여오는 방안까지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네덜란드 정부의 조치도 새로운 변수로 떠올랐다. 네덜란드는 중국 기업 윙테크의 자회사인 반도체 업체 넥스페리아의 경영권을 비상조치로 장악했다. 핵심 기술이 중국으로 이전될 위험이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후 여러 자동차 제조업체는 넥스페리아로부터 칩 공급을 보장받지 못한다는 통보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 회사의 반도체는 미국 자동차 부품과 차량 생산에 필수적인 요소로 평가된다.
한편, 존 보젤라 자동차혁신연합(AAI) 회장은 "반도체 출하가 조속히 재개되지 않을 경우 미국뿐 아니라 여러 국가의 자동차 생산이 마비될 가능성이 있다"며 "공급망 불안이 타 산업으로도 확산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샘 피오라니 오토포캐스트 솔루션 애널리스트도 "전례 없는 복합 위기"라며 "팬데믹 시기 반도체 부족 사태를 겪으며 기업들이 일부 대비를 마련했지만 이번처럼 다양한 문제가 동시에 발생하는 상황은 예측조차 어려웠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