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가계 여유자금 42조 급감…가계부채 비율 8분기 만에 반등

이주희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이주희 디지털팀 기자 hee_423@naver.com]

순자금 운용액 1분기 92.9조→2분기 51.3조
작년 2분기 이후 최대폭↓…"소득 줄고 주택 구매 늘어"


지난달 30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화폐수납장에서 관계자들이 추석 화폐 공급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소득은 줄고 주택 구매는 늘어나면서 올해 2분기 가계와 비영리단체의 여유자금이 이전 분기보다 40조원 넘게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2025년 2분기 자금순환(잠정)' 통계에 따르면, 가계(개인사업자 포함)와 비영리단체의 2분기 순자금 운용액은 51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순자금 운용액은 올해 1분기 92조9000억원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한 뒤 한 분기 만에 40조원 넘게 급감했다. 이는 지난해 2분기(-45조6000억원) 이후 최대 감소폭이다.

순자금 운용액은 각 경제주체의 해당 기간 자금 운용액에서 자금 조달액을 뺀 값이다. 보통 가계는 순자금 운용액이 양(+·순운용)인 상태에서 여윳돈을 예금하거나 투자해 순자금 운용액이 대체로 음(-·순조달)의 상태인 기업·정부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김용현 한은 자금순환팀장은 "1분기의 상여금 효과가 사라지면서 가계소득이 감소했고, 아파트 등 실물자산 투자가 확대돼 여유 자금이 줄었다"고 분석했다.

가계가 2분기 조달한 자금은 25조6000억원으로 1분기(8조2000억원)의 3배 이상으로 늘었다. 금융기관 차입이 9조2000억원에서 29조원으로 급증했다. 조달액을 고려하지 않은 가계의 2분기 자금 운용 규모는 76조9000억원으로 1분기(101조2000억원)보다 25조원가량 줄었다. 금융기관 예치금이 15조2000억원, 지분증권과 투자펀드가 11조4000억원 각각 줄었다.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분기 말 89.7%로 집계됐다. 1분기 말(89.4%)보다 0.3%포인트(p) 상승한 수준이다. 이 비율이 상승세로 돌아선 것은 2023년 2분기 이후 8분기 만이다. 3분기에는 가계부채 증가 폭이 관리됐고 GDP 성장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돼 2분기 비율 상승은 일시적인 것으로 보고 있다고 김 팀장은 설명했다.

비금융 법인기업의 2분기 순자금 조달 규모는 3조5000억원으로 1분기(18조7000억원)보다 15조2000억원 감소했다. 일반 정부의 순자금 조달 규모도 40조2000억원에서 2조7000억원으로 큰 폭 줄었다. 국채 발행이 감소하고 차입금 상환이 축소되면서 자금 조달이 크게 줄어든 영향이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