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연구실 문 연다…30일 최첨단 과학 체험 'OPEN KAIST 2025'

조가현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KAIST 연구실과 실험실를 일반에 공개하는 OPEN KAIST 행사 모습. 오는 10월 30일부터 이틀간 대전 본원 캠퍼스에서 이 행사가 열린다. KAIST 제공
KAIST가 시민들에게 최첨단 연구 현장을 직접 공개한다. AI, 드론, 반도체 등 미래 핵심 기술을 체험하고 일상 속 과학 원리를 배울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KAIST는 교내 연구·실험실 및 연구센터를 일반에 공개하는 'OPEN KAIST 2025' 행사를 10월 30일부터 이틀간 대전 본원 캠퍼스에서 개최한다고 23일 밝혔다.

2001년 시작되어 올해 13회째를 맞는 OPEN KAIST는 KAIST 공과대학이 격년제로 운영하는 대표 연구 공개 행사다. 시민이 연구 현장을 직접 체험하며 과학을 가깝게 만나는 프로그램으로 기획됐다.

올해는 16개 학과와 KAIST 우주연구원이 참여하며 체험·시연, 랩 투어, 강연, 학과 소개, 성과 전시 등 5개 분야에서 총 39개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한준 전산학부 교수 연구실은 AI가 3차원 공간을 이해하고 가상 환경을 구성하는 기술을 소개한다. 참가자는 영상 속 사물이 재배치되는 과정을 시연으로 확인하며 미래 사회에서 AI의 역할과 공간 인지 기술의 발전 방향을 배울 수 있다.

방효충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연구실에서는 멀티콥터, 무인 헬기, 수직이착륙기(VTOL) 등 차세대 드론 기술을 공개한다. 참가자는 비행까지 완료된 기술을 가까이에서 관찰하며 드론 산업이 가져올 변화상을 한눈에 볼 수 있다.

최민이 뇌인지과학과 교수 연구실에서는 뇌와 행동의 관계를 체험할 수 있다. 참가자들은 온라인 어플로 나만의 미니 뇌를 만들어 운동이나 비타민 섭취가 뇌에 미치는 영향을 가상으로 살펴보고, 연구 장비와 실험 현장을 직접 체험한다.

수리과학과는 청소년을 위한 두 편의 특별 강연을 마련했다. '포유류 성장 데이터 패턴에 숨은 비밀' 강연에서는 10g 남짓한 아메리카 두더지부터 200톤이 넘는 흰수염고래까지 다양한 포유류의 성장 데이터 속 보편적 수학 규칙을 탐구한다.

'이 매듭은 정말 풀 수 있을까? 공간을 수학적으로 이해하는 방법' 강연에서는 신발끈 등 일상 속 매듭을 사례로 공간을 이해하는 수학적 사고 방식을 청소년의 눈높이에 맞춰 설명한다.

원자력및양자공학과 프로그램에서는 방사선 탐지 실습과 함께 SMR, 마이크로리액터 등 차세대 원자력 기술의 활용 가능성을 조망한다. 반도체 연구시설 투어에서는 참가자가 클린룸에 직접 들어가 공정 장비와 제조 단계를 관찰하며 초미세 반도체가 완성되는 과정을 체험할 수 있다.

이 밖에도 김형준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교수의 '메타어스: 데이터로 보는 기후 위기와 지구의 변화', 건설및환경공학과의 '원심모형실험: 원심력을 이용한 지진 연구', 전산학부 게임 제작동아리 '하제'의 게임 제작 특강과 전시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마련됐다.

이재우 공과대학장은 "KAIST의 교육과 연구 현장을 개방해 방문객이 도전적이고 창의적인 과학기술 혁신을 직접 경험하고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이번 행사를 준비했다"고 밝혔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OPEN KAIST는 연구 현장을 국민과 공유하는 뜻깊은 자리"라며 "이번 행사가 청소년과 시민이 과학의 가치를 체감하고 미래를 향한 도전의 꿈을 키우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OPEN KAIST 2025는 개별 방문객의 경우 사전 신청 없이 행사 당일 안내소에서 배포되는 책자를 참고해 현장 상황에 맞춰 자유롭게 프로그램을 관람할 수 있다. 세부 일정과 프로그램은 홈페이지(https://openkaist.ac.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IT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