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생명공학연구원(생명연)은 이다용 바이오신약중개연구센터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엄마가 섭취한 폴리에틸렌(PE) 미세플라스틱이 젖을 통해 아이에게 전달되고 그 결과 아이의 면역체계가 교란돼 바이러스 감염에 취약해진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23일 밝혔다.
플라스틱은 공기, 물, 식품뿐 아니라 인간의 몸에서도 발견된다. 작은 플라스틱 조각인 미세플라스틱의 형태로 인체 건강을 위협하는 오염원으로 떠오른다.
임산부와 영유아는 면역체계가 취약해 환경 유해물질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산모로부터 자녀에게 전달되는 미세플라스틱이 면역 기능에 미치는 영향은 지금까지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일상생활에서 컵, 포장지, 비닐봉지 등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플라스틱인 PE를 이용해 동물실험을 진행했다. 모체 쥐에게 PE 미세플라스틱을 먹이자 미세플라스틱은 모유를 통해 새끼의 체내로 이동했다.
연구팀은 새끼의 비장에 미세플라스틱이 다량 축적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비장은 몸속 면역세포를 조절하는 기관이다. 비장의 균형이 무너지면 감염병에 쉽게 걸린다.
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된 새끼 쥐의 몸에서 면역을 담당하는 T세포와 NK세포는 줄고 염증을 일으키는 B세포가 비정상적으로 늘어나는 등 면역체계가 불균형해지는 현상이 뚜렷이 관찰됐다.
미세플라스틱이 비장에 축적된 이후 새끼 쥐는 성장기 내내 면역세포 분포가 불균형했고 인터페론, 염증성 사이토카인 등 항바이러스 면역물질의 분비가 지속적으로 저하됐다. 미세플라스틱은 단순히 체내에 머무는 이물질이 아니라 면역 발달 과정 전반을 교란시켜 감염 저항성을 약화시킨다는 것이다.
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된 쥐가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일종인 H1N1에 감염되도록 만들자 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되지 않은 쥐보다 체중이 급격히 감소하고 항바이러스 면역물질 분비가 현저히 줄어 바이러스 억제 능력이 크게 약화된다는 점도 확인됐다.
연구책임자인 이 선임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미세플라스틱이 세대를 넘어 면역체계를 교란시킬 수 있음을 과학적으로 입증한 첫 사례”라며 “미세플라스틱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사회적 노력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위험물 저널’에 지난 15일 게재됐다.
<참고 자료>
doi.org/10.1016/j.jhazmat.2025.1399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