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학생들이 뽑은 '우수대학 1위' …수시 지원 3년 새 2배, 경쟁률 8.47:1

조가현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KAIST가 학생들이 뽑은 우수대학 1위로 선정됐다. KAIST 제공
KAIST가 학생들이 뽑은 ‘가장 우수한 대학’으로 선정됐다. ‘2025 INUE·한경 대학평가’에서 10~50대 응답자들은 KAIST를 최고 대학으로 꼽았다. 반면 60대 이상은 여전히 서울대를 가장 우수하다고 평가해 세대별 인식 차이도 드러났다.

KAIST(총장 이광형)는 2026학년도 학사과정 수시전형에 총 6991명이 지원해 전년 대비 7.6%(491명) 증가했다고 22일 밝혔다. 경쟁률은 지난해 7.98대 1에서 8.47대 1로 상승하며 4년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지원 규모는 2023학년도 대비 약 1.9배로 늘었다.

학령인구 감소와 이공계 기피 현상이 지속되는 상황에서도 지원자가 늘어난 것은 KAIST의 교육 혁신과 글로벌 경쟁력이 학생들에게 높은 신뢰를 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대학원 지원자 역시 꾸준히 증가했다. 최근 4년간 연평균 9.5%씩 늘었으며 외국인 지원자는 193% 급증했다. KAIST는 이를 세계적 교수진과 첨단 연구 인프라가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라고 설명했다.

실제 대학원 일반전형 지원자는 2022학년도 4828명에서 2025학년도 5813명으로 외국인전형은 833명에서 1611명으로 늘었다.

재학생 정착률도 개선됐다. 학부 중도 이탈자는 2022학년도 126명에서 2024학년도 96명으로 줄었다. 의·치의학 계열 진학을 위한 자퇴자도 같은 기간 58명에서 44명으로 감소했다. 이는 의대 정원 확대 이후 이탈이 늘어날 것이라는 예상을 뒤집는 결과다.

이 같은 변화의 배경에는 학생 중심 제도가 있다. KAIST는 학과 구분 없이 진학해 자유롭게 전공을 선택하는 ‘무학과 제도’, 성적을 일정 조건에서 표기하지 않는 ‘PNR 제도(Pass or No Record)’를 운영 중이다. 또 창의도전전형과 과학영재선발제도를 활성화해 다양한 배경의 학생들이 KAIST에 도전할 수 있도록 문턱을 낮췄다.

김용현 KAIST 입학처장은 “학생 중심 제도를 통해 진로 선택의 자율성을 넓히고 창의적 인재 양성을 지원해온 결과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지원자가 꾸준히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고 말했다.

이광형 총장은 “KAIST를 선택하는 이공계 인재들이 늘고 있다는 것은 우리 대학의 교육·연구 경쟁력이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라며 “최근 조사에서 10~50대가 KAIST를 ‘우수대학 1위’로 꼽았다는 사실은 세대가 바라보는 가치의 변화를 보여주는 동시에 KAIST가 미래 혁신을 선도할 대학임을 입증한다”고 말했다. 덧붙여 “KAIST는 앞으로도 국가와 사회가 필요로 하는 최고의 이공계 인재를 길러내겠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IT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