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 지형이 빙하 후퇴 늦춰…온난화 빙하 예측 정교화

이병구 기자 TALK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1만5000년전 북극 스발바르 벨준트 지형과 빙하 거동을 분석한 그림. 극지연구소 제공
국내 연구팀이 과거 지구가 따뜻했던 시기에 북극 스발바르 지역에서 빙하가 녹아 후퇴하는 과정을 규명했다. 방파제 형태의 지형이 빙하의 급격한 후퇴를 지연한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결과는 현재 지구온난화로 줄어드는 빙하 예측 모델을 정교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극지연구소는 남승일 빙하지권연구본부 책임연구원팀이 2019년 한국-노르웨이 국제 공동탐사에서 수집한 노르웨이 스발바르 남부 벨준트(Bellsund) 피오르 일대의 해저 지형 자료와 퇴적층 시료를 분석하고 약 1만5000년 동안의 빙하 거동과 환경 변화를 복원했다고 21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21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고해양 및 고기후'에 공개됐다.

지구온난화가 지속되면서 극지방과 고산지대 빙하가 줄고 녹아내린 빙하가 바다로 유입돼 해수면이 상승한다. 빙하 후퇴 과정에서 남은 지형·퇴적학적 기록은 과거 기후변화 과정을 복원하거나 미래 빙하 변화를 예측할 주요 단서다.
2019년 하계 스발바르 남부 피오르 국제공동탐사 현장. 극지연구소 제공
연구팀은 유사한 기후 조건에서도 빙하로 만들어진 좁고 깊은 만인 피오르 구조, 해저 지형, 해수 유입 경로 등에 따라 빙하의 후퇴 속도와 양상이 다르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벨준트와 주변 피오르에 발달한 방파제 형태의 지형이 빙하의 급격한 후퇴를 지연시켰다. 피오르 입구의 완만한 수심 변화와 협소한 구조가 바깥쪽 바다의 따뜻한 해수 유입을 제한해 빙하 안정성을 높였을 가능성이 처음 확인됐다.

논문 제1저자인 조영진 연수연구원은 "기후변화뿐 아니라 지형과 해양 조건의 상호작용이 빙하 거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남 책임연구원은 "향후 고위도 지역의 빙하 예측 모델을 정교화하는 데 핵심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신형철 극지연구소장은 "극지에 남아 있는 기후변화의 흔적들에서 인류의 미래를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되는 실마리들을 찾고 있다"며 "기후변화 시대에 빙하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한 의미 있는 성과"라고 밝혔다.

<참고 자료>
- doi.org/10.1029/2025PA005207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IT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