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2022년 전립선암 발생자 수는 2017년 대비 약 58% 증가했다. 국내에서 암 발생자 수 증가율이 가장 높은 암이다.
전립선암은 간단한 혈액검사인 ‘전립선특이항원(PSA)’ 검사만으로 조기 선별이 가능하다. 이정우 경희대병원 비뇨의학과 교수는 “전립선암은 조기 발견 시 완치가 가능하지만 발생 초기에 특별한 증상이 없어 식별하기 어렵다”며 “건강검진 중 PSA 수치가 상승했다는 점을 발견하거나 빈뇨, 야간뇨 등 배뇨 증상 개선을 위해 병원을 찾았다가 진단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말했다.
PSA 수치의 정상 기준은 3ng(나노그램, 1ng=1억분의 1g)/mL 미만이다. 정상 기준을 넘어서면 자기공명영상(MRI) 등을 통한 정밀 검사가 시행되며 암이 의심되면 조직검사를 통해 확진 판정이 진행된다. 다만 PSA 수치가 높다고 모두 전립선암은 아니다. 전립선염이나 전립선비대증 등에 의해서도 PSA 수치가 상승할 수 있다.
이 교수는 “PSA 수치가 정상보다 높다면 반드시 병원을 방문해 정밀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며 “환자의 90%가 60세 이상이고 고령일수록 발병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50세 이상 남성이라면 매년 정기적으로 PSA 검사를 받아야 하고 가족력이 있다면 45세부터 검사받는 것을 권고한다”고 말했다.
전립선에 국한돼 암이 발생할 땐 암을 완전히 제거하는 근치적 전립선 절제술로 전립선과 정낭을 제거한 뒤 방광과 요도를 이어주는 수술을 받게 된다. 전립선은 골반 깊숙한 곳에 위치하고 주변에 신경과 혈관 다발이 있어 개복 수술 시 시야 확보가 어렵다. 상당한 출혈과 요실금, 발기부전 등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다.
이 교수는 “로봇수술은 고해상도 카메라로 시야 확보가 우수하고 로봇 팔의 정밀한 움직임으로 출혈 및 합병증 발생이 적으며 수술 후 회복이 빠르다”며 “비용이 많이 들지만 환자 만족도가 높아 로봇수술 선호도가 높은 추세”라고 설명했다.
전립선암은 방사선 치료에 잘 반응하는 암에 해당한다. 전립선에 국한돼 암이 생기거나 주변 림프절 침범은 있지만 원격 전이가 없다면 방사선 단독 또는 방사선·호르몬 병행을 통해 근치적 목적의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김영경 경희대병원 방사선종양학과 교수는 “최근에는 치료 부위에만 고선량의 방사선을 집중 전달해 주변 조직 손상을 최소화하는 세기 조절 방사선 치료나 치료 부위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영상 유도 방사선 치료가 주로 시행된다”며 “특히 신체 표면을 추적하는 표면유도 방사선 치료(SGRT) 기술은 피부에 표식을 남기지 않고도 환자의 미세한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어 더욱 정밀한 방사선 치료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