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 보도에 따르면 체코 소비자단체 '디테스트(dTest)'의 실험 결과 유럽 공갈젖꼭지 제품에서 비스페놀A가 검출됐다. 필립스 아벤트는 후속 검사에서 비스페놀A가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혔고 소피 라 지라프는 검출량이 미미하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비스페놀A는 플라스틱 생산에 사용되며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구조가 유사한 '환경호르몬'으로 분류된다. 체내에서 에스트로겐의 역할을 모방해 호르몬 균형을 교란한다. 유방암, 전립선암, 자궁내막증, 비만, 당뇨병, 발달장애 등 건강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유아는 호르몬 교란에 취약해 저농도의 비스페놀A 노출도 정자 수 감소, 성조숙증 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디테스트 연구팀은 체코, 슬로베니아, 헝가리의 매장에서 공갈젖꼭지 19개를 구매하고 중국 온라인 쇼핑몰 테무에서 '포산 새이다 아기용품(Foshan City Saidah Baby Products)' 제조사 제품 2개를 추가로 구매했다.
유아 입속 환경을 모방해 각 젖꼭지를 37℃의 인공 타액 용액에 30분간 담근 뒤 추출물의 비스페놀A 함량을 측정한 결과 4개 제품에서 비스페놀A가 검출됐다.
비스페놀A가 킬로그램당 19마이크로그램(㎍, 1㎍은 100만분의 1g)으로 가장 많이 검출된 제품은 스위스 기업 큐라프록스의 '베이비 그로우 위드 러브(Baby Grow with Love)'였다. EU 기준인 킬로그램당 10㎍을 약 2배 초과한 값이다. 해당 제품은 비스페놀A가 없다고 마케팅한 제품이다.
프랑스 기업인 소피 라 지라프의 '천연 고무 젖꼭지' 제품의 비스페놀A가 킬로그램당 3㎍였고 네덜란드 다국적 기업 필립스의 '아벤트 울트라 에어(Avent ultra air)' 젖꼭지와 테무의 포산 새이다 제품 1개에서도 킬로그램당 2㎍의 비스페놀A가 검출됐다. 마찬가지로 비스페놀A가 없다고 홍보한 제품들이다.
큐라프록스는 자체 검사를 실시한 후 문제가 된 제품을 시장에서 회수하고 환불하기로 결정했다. 소피 라 지라프 제품 제조사인 불리(Vulie)는 가디언에 해당 젖꼭지가 현재 판매 목록에 포함되지 않으며 실험에서 나타난 수치가 규제 기준보다 낮아 의미가 없다고 설명했다.
필립스 아벤트는 독립 시험기관인 데크라(DEKRA)와 함께 추가 검사 결과 모든 공갈젖꼭지 제품군에서 비스페놀A가 검출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필립스 아벤트는 "공갈젖꼭지 제품에 비스페놀A가 없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정기 무작위 검사와 품질 테스트를 실시하고 있다"며 "자체 품질 테스트 결과를 재확인하겠다"고 밝혔다.
포산 새이더는 가디언의 논평 요청에 응답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유럽연합(EU) 내 공갈젖꼭지 안전 요구사항에 따르면 비스페놀A 규정은 킬로그램당 10㎍이지만 공갈젖꼭지를 포함한 유럽 장난감 안전지침은 킬로그램당 40㎍으로 제한하고 있어 규정이 모호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EU는 2011년부터 아기 젖병에 비스페놀A 사용을 전면 금지하고 2018년 3세 미만 유아용 식품 용기 및 병 생산에도 확대 적용했다. 국내에서도 EU와 같이 2011년에 젖병, 2018년 모든 영유아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에서 비스페놀A 사용을 금지했다.
체코 비정부기구(NGO)인 아르니카의 카롤리나 브라브코바 매니저는 "아기들이 종종 더 오랜 시간 사용하는 젖꼭지에 비스페놀A 사용을 막지 않으면서 젖병에만 금지하는 것은 비논리적"이라며 "엄격한 규제가 부족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