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동 고등어 품질, AI가 자동 분석

이병구 기자 TALK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해동 방법에 따른 고등어 품질 차이 분석을 위한 영상 이미지 분석 과정. 위쪽이 흐르는 물 해동, 아래쪽이 실온 해동 방식이다. 식품연 제공
급속 동결된 생선은 보통 실온에 두거나 흐르는 물에 담가 해동한다. 해동 방법에 따라 다른 생선의 품질 변화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인공지능(AI)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식품연구원은 근적외선 초분광영상(HSI-SWIR) 데이터와 인공지능(AI) 분석 모델을 활용해 생선의 냉동·해동 과정에서 구성 성분과 조직감 변화를 수치화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생선은 냉동과 해동 과정을 거치며 품질이 저하돼 정확한 변화 양상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구팀은 영하 20℃에서 급속 동결한 고등어를 '실온 해동(RT)'과 '흐르는 물 해동(WT)' 두 가지 방식으로 해동하는 과정을 분석했다. RT와 WT는 산업에서 쓰이는 가장 대표적인 해동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WT가 RT보다 생선 품질 유지 측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해동 후 시간에 따른 고등어의 변화를 근적외선으로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AI 기반으로 분석하고 고등어를 해동 방법에 따라 분류할 수 있는지 평가했다.

적외선 영역인 1100나노미터(nm, 10억분의 1m), 1200nm, 1400nm 부근 파장대에서는 두 해동 방법에서 고등어의 반사율 차이가 명확히 드러났다. AI 모델은 해동 이후 1~3일까지 95% 이상의 정확도로 두 해동 방법을 구분했다.

개발된 검사 방법은 기존 화학적 검사보다 빠르고 생선 시료를 파괴하거나 변형할 필요 없는 비파괴검사다. 실시간으로 해동 방법과 품질 차이를 평가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뜻이다. 자동화된 품질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 검사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것으로 기대된다.

박슬기 식품연 스마트제조연구단 연구원은 "초분광 영상과 AI 분석 기술은 냉동 수산물을 포함한 수산식품 품질 관리 및 실시간 분석, 품질 및 아종 분류 등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할 것"이라며 "해동뿐 아니라 다른 품질 변화 과정도 실시간으로 비파괴 분석이 가능한 기반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IT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