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이스린텍, 우주의약 연구모듈 우주정거장서 첫 실증

이병구 기자 TALK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우주의약 실험을 마친 스페이스린텍의 우주의약 연구모듈 BEE-PC1을 들고 있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 우주비행사 조니 김. NASA 제공
국내 기업 스페이스린텍이 독자 개발한 우주의약 연구모듈을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실증하는 데 성공했다. 국내 최초로 우주에서 바이오의약 핵심 공정을 실증한 사례다.

스페이스린텍은 자체 개발한 우주의약 연구모듈 'BEE-PC1'이 ISS에서 수행한 자동화 단백질 결정화 실험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2일 밝혔다.

스페이스린텍은 미세중력 상태를 인공적으로 만드는 드롭타워나 우주 환경을 활용해 신약 개발과 치료제 연구를 수행하는 제약 기업이다.

ISS로 올라간 BEE-PC1은 우주인 도움 없이 세계 최초로 단백질 결정화 및 모니터링 공정을 한달간 진행했다. 실증을 마친 실험 시료는 올해 12월 미국 스페이스X의 드래건 캡슐을 타고 지상에 돌아온다. 회수 후에는 분석을 마치는 대로 실험 결과를 공개할 예정이다.

스페이스린텍은 11월 27일 예정된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4차 발사 부탑재 위성 임무를 통해 모듈 확장, 단백질 결정 성장 변수 최적화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스페이스린텍은 "이번 실험을 통해 미세중력 환경에서 고순도·고균질 단백질 결정을 우주인 개입 없는 자동화 공정으로 안정하게 확보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며 "구조기반 신약 설계에 필요한 고품질 시료의 표준화·재현성을 확보했다는 의미"라고 밝혔다. 향후 우주 위탁 개발·생산 등 상용화 모델의 기술적 기반을 마련했다는 설명이다.

윤학순 스페이스린텍 대표는 "누리호 후속 임무 등을 통해 우주제약의 기술적·산업적 역량을 갖춰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