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계작업 마치면 병·의원, 약국 50%가 참여
플랫폼 통해 보험사 조회에서 청구까지 '원스톱'
앞으로 동네 의원과 약국에서도 별도의 종이 서류 발급 없이 실손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게 된다. 네이버나 토스 등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서도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사를 조회하는 것부터 보험금을 청구하는 것까지 모든 과정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금융위원회는 25일부터 전국 의원, 약국 등 모든 요양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 2단계가 시행된다고 23일 밝혔다.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는 병원, 의원 등 의료기관이나 약국 이용자가 별도의 종이 서류 발급 없이 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한 제도다. 이용자의 계산서와 영수증, 진료비 세부산정내역서, 처방전 등 보험 청구 서류를 병원이나 약국에서 바로 보험사에 전송한다.
지난해 10월 25일 시행 당시 병원과 보건소 7,822곳이 대상이었는데, 1년이 지나면서 대상이 확대돼 의원, 약국 9만6,719개로 대폭 늘었다. 현재까지 연계된 요양기관은 전체 대상 기관(10만4,541개)의 10.4%인 1만920개다. 당장은 2단계 시행 대상인 의원과 약국 연계율이 6.9%(6,630개)에 그친 영향이다. 다만 굿닥(병·의원), 약학정보원(약국) 등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 참여 전자의무기록업체(EMR)를 이용하는 의원, 약국과 연계 작업을 마치면 전체 대상 요양기관의 50.8%(5만3,066개)에서 온라인 청구가 가능해진다.
정부는 신용보증기금 보증료 감면, 보험료 할인 등을 통해 청구 전산화 참여를 유도할 계획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네이버 지도나 응급의료포털 상세페이지 등에 청구 전산화 여부가 표시돼 의료서비스 제공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며 “추가적인 행정 부담은 없고, 오히려 서류 발급 등 행정 부담이 감소되고 비용도 줄어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11월부터는 네이버나 토스 등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서도 청구 전산화 서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현재는 정부의 청구 전산화 서비스인 실손24를 통해 주로 청구가 이뤄지는데, 전산 개발이 마무리되면 실손24 앱 설치 없이 가입 보험사 조회부터 보험금 청구까지 모두 플랫폼 내에서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정부는 이를 플랫폼이 자체 운영하는 병원 예약 서비스 등과도 연동한다는 계획이다. 플랫폼을 통해 실손보험금을 청구하는 경우에는 소비자에게 별도로 포인트도 제공한다.
정부 관계자는 “앞으로 종합병원 '의료질 평가' 때 요양기관의 청구 전산화 연계 여부를 반영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할 계획”이라며 “소비자에 대한 정보 제공도 확대해, 요양기관 선택권을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