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박찬대 "尹 정부 때 '캄보디아 피해' 급증에 국가는 없었다... 李 정부는 달라야"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 인터뷰]
최근 피해자 16명 구출에 결정적 역할
"피해자 용기 있었기에 가능했던 일"
인천시장 출마엔 "요구 많아 고민 중"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0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캄보디아 내 한국인 납치·감금 피해자 구출과 관련해 한국일보와 인터뷰하고 있다. 정다빈 기자


20일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의원실 내 칠판은 깜지처럼 글씨로 빽빽했다. "캄보디아 범죄단지에 딸(피해자 A씨)이 감금돼 있다"는 제보를 받은 8월 6일부터, 박 의원 측이 그간 확보한 현지 피해자 관련 정보를 외교부로 모두 인계한 지난달 17일까지의 긴박한 과정이 날짜별로 빼곡히 적혀 있었다. A씨 부친으로부터 받은 제보를 통해 박 의원 측은 지난 8월 현지 범죄단지에 납치·감금돼 있던 14명을 구조했고 지난달엔 별도 제보를 통해 피해자 B씨와 C씨를 추가 구출했다.

이들 16명이 캄보디아 범죄소굴에서 벗어나기까지 박 의원 측이 결정적 역할을 한 사실은 피해자 중 한 명이 이달 언론 인터뷰에서 언급하며 처음 알려졌다. 박 의원은 "구출 과정에서 외교당국과 현지 공관, 정보당국, 경찰, 교민 등이 유기적으로 협조할 수 있도록 우리 의원실이 임시 컨트롤타워 역할을 한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피해자들의 용기와 기지, 가족들의 적시 구조 요청, 관계당국의 협업, 교민들의 도움이 없었으면 절대 불가능했을 일"이라고 말했다.

박 의원은 "우리 국민이 캄보디아에서 실종·감금됐다는 신고가 2023년까지 10~20건에서 지난해 220건으로 급증(올 들어선 8월까지 330건)했다"며 "그런데도 윤석열 정부(행정안전부)가 외교부의 현지 영사 증원 요구를 거절한 건 이태원·오송 참사에서 목격했듯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도외시했다는 의미"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국가가 있어야 할 곳에 없었던 것"이라고 힐난했다.

박 의원은 "다만 언제까지 이전 정부 탓만 할 수는 없는 것"이라며 "이재명 정부는 달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박 의원과의 일문일답.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0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캄보디아 내 한국인 납치·감금 피해자 구출과 관련해 한국일보와 인터뷰하고 있다. 정다빈 기자


-구조 작전이 첩보전을 방불케 했다.

"피해자들이 삼엄한 감시를 받고 있어 구조 요청 사실이 발각되면 구타, 고문을 당할 뿐 아니라 목숨을 잃을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 피해자들은 조직원이 잘 때 그의 휴대폰을 몰래 이용하거나 보이스피싱을 하는 척하면서 구조를 요청하는 기지를 발휘했고, 우리 의원실과 텔레그램 등으로 연락을 주고받으며 위치를 특정해 갔다. B·C씨의 경우 의원실 전담 인력과 약 3주에 걸쳐 30여 차례의 교신을 주고받았다. 그럼에도 피해자 중 일부가 구조 직전 발각돼 다른 장소로 옮겨지고 가혹행위를 당하는 일도 있었다."

-피해자 가족이 의원실에 연락하기까지 '외교부 등은 뭘 한 것이냐'는 지적이 비등하다.

"현재는 납치·감금 신고가 들어온 이후부터 외교부 대응이 가능한 구조다. (캄보디아 경찰이) 감금 피해자가 직접 자신의 현재 위치 등을 파악해 신고하도록 요구하고 있어 (정부 대응에) 한계가 있었을 것이다. 이재명 정부는 이런 시스템을 반드시 완비해서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 사후 대응이 아니라 사전 예방이 가능하게끔 현지 인력, 관련 예산 등을 확충하고, 한국인 출입국이나 현지 범죄단지 상황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 영사조력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한 상태다."

-현지에 감금된 한국인들은 피해자인 동시에 스캠(사기) 범죄에 동원된 가해자다. '정부가 나서서 구출하는 게 맞느냐'는 비판도 있다.

"국가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 가치에 둬야 한다. 다만 교민 사회에 영향을 줄 것이란 우려도 있다. 이제부터는 교민 사회 지속가능성 등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다. 범정부 태스크포스(TF)가 꾸려진 만큼 TF를 중심으로 역량을 모아야 한다. 위성락 대통령실 안보실장이 TF 첫 회의를 주재했는데, 내가 예상한 것보다 강력한 조치였다. '국민 한 사람의 생명이 우주보다 귀하고, 그걸 지키는 게 국가의 책무'라는 인식을 대통령께서 보여줬다고 생각한다."

-민주당에서는 '범죄 소탕을 위해 한·캄보디아 합동 군사작전도 불사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절박한 마음에서 하신 말씀들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군사작전은 신중해야 한다'는 김병기 원내대표 말씀에도 공감한다. 위성락 실장이 TF를 맡은 만큼 외교에 미칠 영향 등까지 종합해 판단할 것이다."

-감금 한국인 구출을 계기로 박 의원이 재조명되고 있다. 내년 지방선거 역할론에 대한 견해도 많다.

"인지도 덕에 최근 여론조사 지지율이 높게 나오다 보니 '인천시장에 출마해야 한다'는 시민들의 요구가 많다. 하지만 '인천을 대표하는 중앙 정치인이 돼 달라'는 목소리도 커 고심이 깊다. 마음 같아서는 1년 정도 쉬면서 고민하고 싶지만 선거가 얼마 안 남아서 늦지 않게 결정을 내려야 할 것 같다."

-지방선거를 앞두고 대통령실과 여당, 여당 투톱 간 엇박자 등에 대한 우려도 있다.

"(전당대회에서 정청래 대표에게 패한) 나로선 아쉬움이 왜 없겠나. 하지만 국민과 당원들이 정 대표를 선택했다. 그리고 이 대통령과 정 대표, 김 원내대표 모두 (대통령과 대표직이) 처음이지 않나. 어떻게 처음부터 갈등이 없을 수 있나. 다만 목표와 방향성은 같기 때문에 조율을 통해 반드시 합을 이뤄낼 것으로 믿는다. 지금은 정 대표의 시간이니 믿고 지켜봐 줘야 한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