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120억 원 투입해 정상급 숙소 35개 마련
경찰, 주요행사장에 인력 집중 배치해 안전 확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열흘여 앞두고 정부와 경북 경주시 등은 손님맞이로 분주한 나날을 보내고 있다. 한때 숙소 부족, 회의장 건설 지연 등으로 ‘제2의 새만금 잼버리 사태’가 재현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까지 나왔던 터라, 정부는 1,000여 개 체크리스트까지 만들어 분야별 검토를 하고 수만 개 시뮬레이션 상황별로 미세 점검을 하고 있다.
내부공사·동선 시뮬레이션 동시 진행…정상용 숙소, 기업 협력 통해 '문제 해결'
통상 APEC처럼 여러 국가의 정상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대형행사는 인프라 건설작업을 4, 5개월 전에 끝내고 약 3개월간 동선을 체크하는 시뮬레이션을 반복한다. 그러나 경주는 지난해 벌어진 12·3 비상계엄의 여파로 일정이 많이 지연돼 인프라 설치와 동선 시뮬레이션 체크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APEC 준비기획단 관계자는 "정상 참석 여부와 관련한 시뮬레이션에서부터 각국 정상의 양자·다자회담에 따른 의전·경호 지원까지 수만 가지 가능성을 고려해 대비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때 논란이 됐던 '정상용 숙소(PRS)' 문제는 가까스로 해결됐다. 세계 21개국 정상급 인사들을 초청하려면 침실과 응접실, 회의실, 경호 시설 등을 갖춘 최고급 객실이 제공돼야 한다. 이에 정부는 경주에 120억 원을 투입해 PRS 35개 객실을 조성했다. 각국 정상 수행단의 숙소 확보를 위해 외신 기자들이 예약했던 숙소를 옮기는 일도 있었다. 경제인 숙소는 숙박난으로 인근 울산과 대구, 부산 등으로 분산 배치됐다.
반중∙반미시위 움직임에 촉각 세우는 경찰
APEC 기간 행사장 인근에서는 각종 집회·시위 등도 열릴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2005년 부산 APEC 정상회의에서는 3만여 명의 시위대가 정상회의 주요 행사장 진입을 시도해 경찰과 충돌하는 일도 있었다. 경찰은 APEC 주 행사장인 보문관광단지에서의 집회 신청은 경주 시내 등으로 장소 변경을 유도하기로 했다. 경찰은 APEC 주요행사장에 인력을 집중 배치해 안전 확보와 경호에 만전을 기하겠다는 입장이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지난 15일 APEC 관련 외국인 치안·안전관계장관 회의에서 "표현의 자유는 민주사회의 중요한 가치임에는 틀림없지만, 타인의 권리와 안전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성숙하게 행사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도 지난 16일 경주를 찾아 의료 대응 및 응급구조 체계에서부터 테러·경호 및 화재예방 대책까지 분야별 안전 준비상황을 점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