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35% 오를 동안 코스닥 15%밖에 못 따라가… 투심 불신 키운 '철밥통 상장제도'

전유진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코스피 시총 2253조→3070조 상승할 때
코스닥은 382조→447조 17% 성장에 그쳐
부실기업이 발목… 시장 신뢰↓ 변동성↑
"상장폐지 강화하고 기관 투자 독려해야"
17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개장 시황이 나오고 있다. 뉴스1


코스피가 4,000 고지를 넘보는 상황에도 주식시장의 또 다른 축인 코스닥의 소외 현상은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 코스닥 시장이 함께 성장하지 못하면 국내 벤처·중소기업 성장에도 힘이 빠질 수밖에 없다는 우려가 나온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증시 활성화'를 외친 이재명 정부 출범(6월 4일) 이후 이날까지 약 4개월간 코스피가 35.3% 치솟는 동안 코스닥 성장률은 그 절반이 채 안 되는 14.6%에 불과했다. 시가총액도 약 382조 원에서 447조 원으로 17.1% 증가하며 코스피(36.2%)의 절반 수준을 기록했다. 이날도 코스피는 장중 최고가(3,794.87)를 다시 쓰고 종가(3,748.89) 역시 신고가를 기록한 반면, 코스닥은 5.87포인트(0.68%) 내린 859.54에 마감했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도 지난달 10일 "코스닥 시장 전체 신뢰가 떨어진 문제에 대해 근본적 대책을 만들려 한다"고 공언했지만 시장 격차는 좀처럼 좁혀지지 않는 모습이다.

부실기업이 코스닥 성장의 발목을 잡고 있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코스닥 상장은 쉽게 이뤄지지만 상장폐지는 상대적으로 어렵다"며 "비대칭성을 개선해야 한다"고 짚었다. 실적을 내지 못하는 기업도 일단 상장만 하면 퇴출되지 않는 '철밥통' 문화가 시장 신뢰를 떨어뜨린다는 지적이다. 실제 최근 4개 분기 합산 기준 코스닥 상장 기업 중 44.2%가 영업손실을 기록했지만 올해 상폐 기업 수는 전체의 2.7%에 불과했다. 신뢰 하락은 외국인·기관 이탈로 이어지고, 단기 매매 중심의 개인 거래가 늘어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

그래픽=강준구 기자


정부도 손을 놓고 있던 건 아니다. 금융위원회와 한국거래소는 1월 '기업공개(IPO) 및 상폐 제도개선 방안'을 통해 시총과 매출액 기준을 상향하는 등 진입·퇴출 요건을 강화했다. 그러나 글로벌 스탠더드엔 여전히 미치지 못한다는 의견이 적지 않다. 나스닥은 30영업일 이내 주가가 1달러 미만일 경우 경고를 보내고, 개선되지 않을 경우 상폐를 통보하는 등 시장을 엄격히 관리해 왔다. 그 결과 나스닥 상장사 수가 지난해 말 기준 3,273개로 1년 사이 4.19%(143개) 감소할 동안 코스닥은 오히려 4.64%(79개) 늘었다.

전문가들은 부실기업 정리와 투자자 보호를 병행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준서 동국대 경영학과 교수는 "일본은 시장을 프라임·스탠더드·그로스 3단계로 개편해 부실기업을 대거 퇴출하고 있다"며 "한국도 거래소 구조를 손질하되, 장외 주식시장(K-OTC)을 활성화해 재상장 기회를 주는 방식으로 투자자 충격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6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장비기업 한송네오텍은 상폐를 위한 정리매매 첫날 주가가 95.88% 급락했는데, 이 같은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제도적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국내 기관 투자자 참여를 독려해야 한다는 조언도 나왔다. 황 연구위원은 "코스닥에 투자하는 국내 기관 투자자가 늘어야 증권사 분석 리포트가 늘고 정보 공유도 활발해진다"며 "이런 선순환이 코스닥 활력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