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 있던 영국 변호사는 왜 간송에 고려자기 20점 팔았을까

인현우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서울 간송미술관 '보화비장' 기획전
근대 국내외 수장가 7인 컬렉션 소개
15일 서울 성북구 간송미술관에서 열린 가을 기획전 '보화비장: 간송컬렉션, 보화각에 담긴 근대의 안목'에서 참석자가 추사 김정희의 '대팽고회'(왼쪽 작품)를 살펴보고 있다. '대팽고회'는 추사 김정희가 71세 때 쓴 마지막 작품이다. 연합뉴스


문화보국(文化保國)의 신념으로 일제 강점기 문화유산을 지킨 간송 전형필의 컬렉션은 당대 숨은 수장가들의 헌신으로 완성됐다. 조선의 문신 민영익, 독립운동가 오세창, 영국인 변호사 존 갯즈비 등 간송 컬렉션을 형성하는 기반이 된 근대 수장가 7인을 소개하는 기획전 '보화비장(寶華秘藏): 간송 컬렉션, 보화각에 담긴 근대의 안목'이 서울 성북구 간송미술관에서 17일부터 열린다.

전시는 7인의 수장가를 기준으로 이들이 선별해 보관한 40점을 소개한다. 이 중 국보 4건, 보물 4건이 포함됐다. 1930년대에 등장한 수장가들은 당시 조선 미술 시장을 주름잡던 일본인에 대항해 '조선 문화 찾기'의 일환으로 미술품 수집에 나섰다.

전시는 중국 상하이로 망명해 서화를 모은 민영익의 '천심죽재(千尋竹齋) 컬렉션', 한국 서화사를 기록한 오세창의 '천죽재(天竹齋) 컬렉션', 조선 최후의 궁중화가로 불리는 안중식의 수장품을 물려받은 안종원의 '경묵당 컬렉션’, 조선의 숨은 수장가였던 김재수의 '숭고재(崇古齋) 컬렉션' '일장기 말소 사건'을 일으킨 조선중앙일보의 실질적 사주였던 윤희중의 '적고각(積古閣) 컬렉션', 조선의 마지막 내관 이병직의 '고경당(古經堂) 컬렉션', 일본 거주 영국 변호사 존 개즈비의 '고려자기 컬렉션'으로 구성됐다.

간송 전형필이 영국인 변호사 존 개즈비로부터 매입한 고려 청자. 모두 국가지정문화유산 국보로 보호받고 있다.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청자 상감연지원앙문 정병, 청자 모자원숭이모양 연적, 청자 오리모양 연적, 청자 기린형뚜껑 향로. 간송미술문화재단 제공


비록 수장가에게 집중된 전시지만 작품의 면면도 귀하다. 개즈비 컬렉션으로 국보로 지정된 '청자 상감연지원앙문 정병'을 비롯해 고려 자기 9점이 소개된다. 고려 청자에 애정이 깊었던 개즈비는 영국과 일본의 전쟁이 임박하자 자신이 모았던 고려자기 20점을 값을 더 쳐 준 일본인 수장가 대신 전형필에게 건네 고국으로 돌려보냈다고 전해진다.

추사 김정희의 '초석단성'(왼쪽 사진)과 '대팽고회'. 간송미술문화재단 제공


심산 노수현이 광복 후 간송 전형필에게 그려 전한 '무궁화'. 화제시로는 애국가의 후렴이 적혀 있다. 간송미술문화재단 제공


이병직이 소장했던 추사 김정희의 절필작 ‘대팽고회(大烹高會)’도 만날 수 있다. 대팽고회는 김정희가 71세 때 생애 마지막으로 쓴 글씨로 국가지정 문화유산 보물로 지정돼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심산 노수현이 1946년 전형필에게 그려 준 '무궁화'도 처음 공개된다. 무궁화를 그리고 애국가의 후렴을 적어 넣은 비단 위 채색화로, 민족문화유산을 보호하기 위해 애쓴 전형필에게 헌사하는 의미를 담았다.

전인건 간송미술관장은 "이병직·윤희중 등 수장가들 일부는 독립운동을 지원한 이력도 있다"면서 "민족 문화를 지키려는 수장가들의 방향성을 바라본다는 의미에서 광복 80주년을 맞이한 간송미술관의 기념전시로 봐주시면 좋겠다"고 밝혔다.

전시는 11월 30일까지, 사전예약을 통해서만 방문 가능하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