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적 긴축 정책 종료 임박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이 양적 긴축 정책의 종료 시점이 임박했음을 시사하는 한편, 고용 시장의 둔화와 실업률 상승 가능성을 언급해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을 높였다.
파월 의장은 14일(현지시간)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콘퍼런스 연설에서 "연준의 목표는 은행 시스템에 충분한 유동성을 제공해 단기금리를 안정적으로 통제하는 것"이라며 "충분한 수준의 준비금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유동성 여건이 점차 긴축되고 있는 징후가 나타났기 때문에 향후 몇 달 안에 양적긴축(대차대조표 축소)을 중단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고했다.
연준은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경기부양을 위해 국채와 주택저당증권(MBS)의 대규모 매수를 통해 대차대조표를 약 9조 달러까지 늘렸으나 2022년 중반부터 자산 만기 재투자를 중단하는 방식으로 축소를 이어왔다. 연준의 자산 규모는 9조 달러에서 6조6,000억 달러로 축소됐다. 다만 팬데믹 이전 수준인 약 4조 달러까지 줄이지는 않겠다고 밝혔다.
기준 금리 인하 여부에 대해서는 고용 시장의 둔화와 실업률 상승 등에 무게를 두며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했다. 파월 의장은 "너무 빠르게 금리를 내리면 인플레이션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채 남게 되고, 너무 늦으면 고용시장에 불필요하고 고통스러운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며 "최근 고용지표는 노동시장이 상당히 약화했음을 보여준다"고 했다. 그러면서 "고용 증가세는 둔화했지만 소비자들은 여전히 지출하고 있다"며 "이 간극이 어떻게 해소될지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밝혔다.
앞서 연준은 9월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했으며, 시장은 연내 두 차례 추가 인하 가능성을 예상해왔다. 이날 셸 보먼 연준 이사도 워싱턴에서 열린 국제금융협회(IIF) 연례회의 대담에서 "9월 회의에서 첫 단계를 밟았고, 남은 두 차례 회의(11월·12월)에서도 같은 방향이 될 것"이라며 "노동시장과 물가가 연준의 목표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으며 금리 인하가 경제 균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연준은 다음 달 6, 7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다음 금리 결정을 논의할 예정이다. 연준 인사들이 잇따라 고용 둔화와 인플레이션 안정세에 힘을 실으며 연준이 점진적인 금리 완화 사이클에 진입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앞으로 두 차례 금리 인하가 이뤄지면 미국 기준금리는 올해 총 0.75%포인트 하락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