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세 이상 성인 31만 명 추적 관찰
음주량 변화 따라 위암 위험 달라져
여성 갑작스러운 폭음, 위험 2배 높여
술을 마시지 않던 사람이 음주를 하면 가볍게 즐기더라도 위암 위험이 약 14%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등도의 음주자가 경도 수준으로 음주량을 줄일 경우 위암 위험은 20% 안팎 낮아졌다. 음주량에 따라 위암 발병 위험이 달라진다는 뜻이다.
김나영‧최용훈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장지은 국립암센터 암진료향상연구과 연구원이 참여한 공동 연구진은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자료를 토대로 40세 이상 성인 31만192명을 평균 12년 동안 추적 관찰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2일 밝혔다.
연구진은 분석 대상 성인들을 하루 알코올 섭취량에 따라 △경도(남성 15g, 여성 7.5g 미만) △중등도(남성 15~29.9g, 여성 7.5~14.9g) △고용량(남성 30g, 여성 15g 이상)으로 분류했다. 도수가 19도인 소주 한 병에는 약 53g의 알코올이 포함돼 있다.
연구 결과를 보면, 현재 알코올 섭취량과 상관없이 음주량 증가는 위암 위험 요인으로 작용했다. 예를 들어 술을 안 마시던 사람이 새롭게 음주를 시작하면 가벼운 수준으로 술을 즐겨도 위암 위험이 14% 안팎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 양상은 남녀에 따라 달랐다. 남성의 경우 음주를 하지 않는 이들은 음주를 계속하는 이들보다 위암 발생 위험이 평균 약 10% 낮았고, 알코올 섭취량을 늘린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위암 발생 위험이 평균 10% 안팎 높아졌다. 음주량 변화에 따른 위암 발병 위험이 비교적 뚜렷하게 나타난 것이다. 반면 여성은 전반적으로 연관성이 낮았다. 그러나 음주를 하지 않는 여성들이 알코올을 고용량으로 섭취할 경우 위암 위험이 두 배 증가했다.
그간 음주와 위암에 관한 연구는 주로 절대적인 음주량에 초점을 맞췄으나, 이번 연구는 음주량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밝힌 것에 의미가 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위암은 폐암과 간암, 대장암에 이어 사망률이 4번째로 높은 암(2022년 기준)이다. 남성 암 사망자의 9.0%, 여성 암 사망자의 8.9%가 위암으로 목숨을 잃었다.
김 교수는 “음주를 절제하거나, 완전히 금주하는 쪽으로 생활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위암 예방에 중요하다”며 “특히 내시경으로 조기 위암(위에 생긴 악성 종양)을 제거한 적이 있거나 가족력·흡연 같은 고위험 인자를 보유하고 있다면 금주가 절대적으로 필요하고, 그게 어렵다면 음주량을 최대한 줄이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