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배터리 분리 시 잔량 80%…'30% 이하' 기준 초과했다

문재연 기자
입력
수정 2025.10.01. 오후 10:54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배터리 충전 상태 30% 이하여야"
배터리업체 가이드라인 안 따른 정황
"이중화 안 된 데이터 복구 힘들어"
지난달 27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열린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정부 서비스 장애 관련 브리핑'에서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을 비롯한 참석자들이 인사하고 있다. 왼쪽부터 윤상기 소방청 장비기술국장, 이용석 행정안전부 디지털정부혁신실장, 김 차관, 이재용 국가정보자원관리원장. 연합뉴스


정부 전산망 마비 사태를 야기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이 화재 원인으로 지목된 배터리 이전 당시 충전 용량을 '30% 이하로 낮춰야 한다'는 가이드라인을 지키지 않은 것으로 1일 확인됐다.

이재용 국가정보자원관리원장은 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현안 질의에 출석해 '배터리 화재와 관련해 분리 작업 중 과실이 크다고 생각하느냐'는 고동진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 원장은 무정전 전원장치(UPS)를 서버와 분리하는 작업 당시 리튬배터리 분리 시 충전율(SOC)에 대한 질문에 "80% 정도 됐다"고 했다. 이는 SOC를 30% 이하로 낮춰야 한다는 민간기업 가이드라인을 크게 초과한 수치다.

고 의원은 "배터리 업체 전문가 이야기를 들어보면 배터리 충전 용량 SOC를 30% 이하로 낮추기만 해도 전기 단락에 의해 화재가 날 가능성은 거의 제로에 가까웠을 거라고 한다"고 지적했다. 이 원장은 "그런 부분에 대해서 더 관심과 신경을 써야 된다고 생각한다"면서 고개를 숙였다.

이번 화재로 손실된 데이터 중 이중화가 되지 않은 데이터에 대해서도 복구가 어렵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이 원장은 '이중화되지 않은 데이터는 복구하기 힘들고 영구 손실 가능성이 높냐'는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질의에 "힘들다는 건 맞다"고 인정했다.

윤 의원은 "이번 화재로 대전센터가 보유한 전체 데이터 647개 중 서버 이중화가 제대로 이뤄진 건 4%에 불과하고 스토리지 이중화 비율은 2%밖에 되지 않는다"며 "(이 중) 아무 조치도 하지 않은 게 248개나 되는데, 이들 데이터는 지금 찾지 못하고 있다"고 질타했다.

배터리 이설 과정에서 UPS 유지관리 업체 직원이 현장에 없었던 사실도 확인됐다. 이 원장은 지난달 29일 언론브리핑에서 작업 현장에 전기업체인 일성계전, 배터리 업체 내일파워, UPS 업체인 EP코리아 등 3개 업체 소속 직원들이 현장에 투입됐다고 말했다. 윤 의원은 "(당시 이 원장이) 시방서(이설 작업 시 지켜야 할 수칙)대로 작업했다고 말했지만, 시방서대로 작업이 이뤄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국정자원 화재로 큰 불편과 심려를 끼쳐 깊이 사과드린다"며 "불편을 최소화하고 조속한 정상화를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2023년 전산망 마비 사태 이후 데이터 이중화 조치가 이뤄지지 않은 이유에 대해선 "시범사업을 이유로 내년 이후 사업으로 미뤄져 있었고 내년에도 이중화 관련 예산이 충분하지 않은 것 같다"고 했다. 이어 "이번 사고를 재난으로부터 우리 정부의 전산망을 지키는 안전을 지키는 계기로 생각하고, 완전한 재난대비 체제를 만들어야 한다"며 "빠른 시일 내 이중화 체계를 완성시키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