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 기록 파기' 의혹으로도 수사선상
국정원 '계엄사 파견 검토' 수사 대상
12·3 불법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사건을 수사하는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18일 정진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을 소환했다. 정 전 실장이 특검에 출석해 조사받는 것은 처음이다. 조태용 전 국가정보원장의 계엄 관련 혐의를 수사 중인 특검은 이날 국정원을 상대로 압수수색도 진행했다.
특검팀은 이날 오전 10시 정 전 실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했다. 특검팀은 정 전 실장이 윤 전 대통령을 지근거리에서 보좌한 점에 주목하고 계엄 전후 대통령실 내부 상황을 조사했다.
정 전 실장은 계엄 관련 증거를 없애기 위해 대통령실 공용 PC 기록 파기를 지시한 의혹으로도 수사선상에 올라있다. 다만 이날은 증거인멸 혐의 관련 조사는 이뤄지지 않았다.
특검은 이날 국정원 비서실 등에 대한 압수수색도 진행했다. 조태용 전 국가정보원장은 헌법재판소에서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이 작성한 '체포조 명단'의 신뢰성을 지적하는 과정에서 위증한 혐의를 받고 있다. 압수수색 영장에는 국정원법상 정치관여 금지 조항이 적시됐다.
조 전 원장은 불법계엄을 사전에 인지하고도 국회에 보고하지 않은 혐의(직무유기), 홍 전 차장에게 사직을 강요한 혐의(국정원법상 직권남용) 등도 받고 있다. 특검팀은 국정원 실무부서가 생산한 '비상계엄 선포 시 조치사항' 문건에 대해서도 문건 작성자를 전날 소환하는 등 사실관계를 확인 중이다. 해당 문건에는 계엄사령부 합동수사본부에 국정원 직원 약 80명 파견을 검토하는 내용이 담겼다. 특검팀은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한 자료를 분석한 뒤 조 전 원장을 소환 조사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