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교진, '조국 입시비리 옹호' 논란에 "송구"…논문 표절 의혹도 사과

유대근 기자
입력
수정 2025.08.31. 오후 6:00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국회 인사청문회 질의답변서에 입장 밝혀
"입시비리로 청년이 받은 상처 살폈어야"
최교진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서울 여의도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며 취재진 질문을 듣고 생각하고 있다.


최교진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자신의 석사 논문 표절 논란에 대해 "기사 등을 인용하며 출처 표기가 없었던 점에 대해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자녀의 입시 비리에 가담해 처벌받은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을 감쌌다는 비판에 대해 "옹호하려는 의도는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최 후보자는 31일 국회에 제출한 인사청문회 서면질의 답변서에서 이런 입장을 밝혔다. 논문 표절 논란에 대해 사과 의사를 공식적으로 밝힌 것은 처음이다. 그는 2006년 12월 목원대 대학원 행정학과 석사 학위 논문으로 '매니페스토 운동에 나타난 정책공약 분석'을 제출했는데 이 논문에서 다수 신문 기사 문장을 출처 표기 없이 인용해 표절 의혹을 샀다. 다만, 최 후보자는 "해당 논문은 연구 윤리 관련 구체적 기준이 정립되기 이전인 2006년에 작성된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최 후보자는 과거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조 전 장관이 '정치적 탄압'을 받고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데 대해서는 "교육자로서 입시 비리와 관련해 청년들이 받은 상처를 먼저 살펴야 했는데 그러지 못한 점을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당시 검찰의 과도한 수사와 권한 남용에 대한 비판에 공감하는 취지로 관련 글을 공유했으나 자녀 입시 비리 등을 옹호하려는 의도는 아니었다"고 강조했다.

최 후보자는 고교 내신평가제의 향후 변화 방안에 대해서는 "고교학점제에서 학생들의 자유로운 과목 선택을 보장하기 위해 고교 내신의 절대평가 전환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한다"며 "향후 국가교육위원회에서 차기 대입 개편 논의 시에 종합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