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공기·농산물 녹조 독소 살펴본다··· 올해 내 종합대책 발표

최나실 기자
입력
수정 2025.08.19. 오후 3:38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환경부 "신뢰 회복 첫 단계" 조류경보제 개편
환경단체와 협의해 '녹조 에어로졸' 조사 방침
환경운동연합 "근본 해법은 4대강 재자연화"
전국적으로 폭염이 이어지던 지난달 28일 강원 인제군 소양호 상류에 발생한 녹조가 수면을 뒤덮고 있다. 연합뉴스


환경부가 '4대강 녹조'에 대한 국민적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기존 '먹는 물'뿐 아니라 공기 중과 농산물 내 녹조 독소도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기존에는 사흘 넘게 걸리던 조류경보제 조사·발령도 하루 내로 이뤄지도록 개선하기로 했다.

환경부는 "정부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첫 조치"라면서 연말까지 녹조 종합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환경단체는 일부 긍정적 측면이 있다면서도 "녹조 라테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에는 여전히 미진한 점이 많다"며 4대강 보 개방과 재자연화 등 근본 대책을 촉구했다.

3.5일 걸리던 조류경보제, 하루 만에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19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녹조 문제의 근원적 해결을 위한 녹조 종합대책 마련 계획 및 낙동강 녹조 수질검사·정보공개 방식 전면 개편 내용을 발표하고 있다. 뉴스1


19일 환경부는 우선 조치로 낙동강 조류경보제의 채수(물 채취) 위치를 조정하고, 경보 발령도 더 빠르게 이뤄질 수 있도록 개편하는 방안을 이달 말 즉시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조류경보제는 전국 하천·호수 등에서 채수한 물 1㎖당 유해 남조류 세포 수에 따라 △관심(세포 수 1,000개 이상) △경계(1만 개 이상) △대발생(100만 개 이상) 등으로 발령된다.

기존에는 채취가 취수구 상류로부터 2~4㎞ 떨어진 지점에서 이뤄져, 실제 취수구로 유입되는 녹조와 차이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또 월요일 시료를 채취해 분석 후 목요일 오후 경보가 발령되는 등 평균 3.5일이 걸려 즉각 대응이 어려운 문제도 있었다.

이에 환경부는 채수 위치를 수돗물 생산을 위한 '원수(原水)' 취수구 50m 이내로 바꾸기로 했다. 또 취수장에 이동형 수질분석차량을 배치하거나 인근의 낙동강물환경센터를 이용해 시료 채취 당일 바로 분석 후 경보 발령을 한다는 계획이다. 수변 및 고농도 녹조 구역에 대한 감시도 병행해 이를 물환경정보시스템에 투명하게 공개할 예정이다.

이러한 조치들은 낙동강을 시작으로, 다른 4대강 유역으로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4대강 재자연화 대책은 별도로 마련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7일 대구 달성군 강정고령보를 찾아 녹조 발생 현황 및 대응 상황을 점검한 후 지역 주민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환경부 제공


아울러 그동안 녹조 안전 관리는 '먹는 물'에 대해서만 이뤄졌는데, 환경단체를 중심으로 대기 중 에어로졸(대기 중 미세입자)과 농산물 내 녹조 독소 검출 사실이 거듭 제기되면서 이에 대한 실태조사에도 나선다.

연관기사
• [사이언스 톡] 녹조 독소 쌀? 어물쩍 넘기지 말고 공개조사 하라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3033015070000348)
• "불안해서 아(아이) 못 키워"···유해 녹조 독소, 낙동강 주민 절반 콧속서 발견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20315200002434)


환경부는 "그동안 정부와 시민사회의 조사결과가 달라 지역 주민들의 혼란이 컸던 공기 중 조류 독소에 대해 올해 하반기 시료 채취 단계부터 투명하게 공개하고 환경단체·전문가와 공동조사를 위한 협의를 재개해 논란을 해소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현재는 에어로졸 형태 조류 독소에 대한 관리 기준이 없어, 위해성 연구도 하반기부터 추진한다. 농림축산식품부 등과 협력해 녹조가 심한 지역에서 재배된 농산물 녹조 감시도 실시한다.

4대강과 녹조 문제를 십수 년간 비판해 온 환경운동연합은 "윤석열 정부 환경부의 형식화된 녹조 대책에서 일부 벗어난 점에서 긍정적"이라면서도 "근본 해법은 보를 열어 강물의 유속과 유황을 복원하고 재자연화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4대강 재자연화'는 이재명 대통령 대선 공약인데, 아직 로드맵은 발표된 바 없다. 환경부는 연내 발표할 '녹조 종합 대책'과 별개로 '4대강 재자연화 대책'도 마련할 계획이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