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탄소 5% 내뿜는 플라스틱, 인류는 '유엔 협약'으로 생산 감축 해낼까

최나실 기자
입력
수정 2025.08.06. 오전 9:25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제5.2차 국제 플라스틱 협상 개최]
2022년부터 시작된 국제 플라스틱 협약
국가 간 이견 커 5차 협상에도 결론 못 내
규제 안 하면 2050년엔 배출량 3배 전망
"한국 정부도 생산 감축에 지지 표명해야"
스위스 제네바 유엔 사무소에서 개최되는 '국제 플라스틱 협약' 협상을 하루 앞둔 4일 현지 환경운동가들이 시위를 벌이고 있다. 스위스의 공용어 중 하나인 프랑스어로 '물러가라 플라스틱아'(왼쪽), '스위스는 플라스틱 사용 감축 조치에서 뒤처져 있다'(오른쪽)라고 적혀 있다. 이번 협상은 14일까지 열리며, 국제적인 플라스틱 오염 문제를 종식하기 위해 생산부터 소비·디자인·폐기물 관리 등 전 주기 문제를 다루게 된다. 제네바=AFP 연합뉴스


플라스틱은 화석연료에서 시작되며, 생산·정제 등 전 과정에서 막대한 에너지 소비와 온실가스 및 유해화학물질을 배출한다. 현재의 플라스틱 생산 추세가 지속된다면 파리협정의 1.5도 목표 달성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국제환경단체 지구의벗(FoE) 말레이시아의 마게스와리 상가라링암, 지난달 환경운동연합과의 '감축 없는 정의는 없다' 세미나에서


플라스틱 오염 종식을 위한 세계 첫 국제협약을 만드는 유엔 회의가 5일(현지시간)부터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된다. 이번 회의는 당초 마지막으로 예정됐었던 지난해 11월 부산의 제5차 국제 플라스틱 협약 회의(INC5)가 빈손으로 끝나면서 추가로 열리는 '제5.2차' 회의다.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5%를 차지하는 '플라스틱 생산'을 줄여야만 기후변화를 조금이라도 늦출 수 있는 상황이지만, 플라스틱 원료인 화석연료를 생산하는 산유국과 주요 석유화학 산업국 등의 반대로 협상은 난항을 겪고 있다. 국제사회 영향력이 큰 미국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집권 이후 '생산 감축 반대'로 입장을 선회한 것 역시 협상에 먹구름을 드리우고 있다.

"플라스틱 문제 해결 없인 기후대응 못 해"

지난 2015년 9월 중국 베이징 근교의 최대 폐기물 집산지인 둥샤오커우 마을에서 현지 노동자가 재활용을 위해 플라스틱 병을 분류하고 있다. 전 세계 170여개 국가는 당초 플라스틱 오염 종식을 위해 2024년까지 법적 구속력이 있는 국제 협약을 제정하기로 약속했었다. 그러나 지난해 11월 부산에서 열린 제5차 협상이 빈손으로 막을 내리면서 5일부터 스위스 제네바에서 '5.2차 회의'를 다시 열게 됐다. 둥샤오커우=AFP 연합뉴스


유엔환경계획(UNEP)과 한국 정부 등에 따르면 유엔 플라스틱 협약 성안을 위한 제5차 정부 간 협상위원회 속개회의(INC 5.2)는 5일부터 14일까지 진행된다. 전 세계 170여 개 유엔 회원국은 2022년 3월 유엔환경총회(UNEA)에서 플라스틱 생산·소비부터 폐기물 처리까지 전주기에 걸친 법적 구속력을 갖춘 국제 협약을 제정하기로 채택했다. 이후 지난해 11월 부산까지 총 5차례 모여 협상을 추진해왔지만, 결론을 내지 못했다.

연관기사
• "바다에 물고기는 없고 플라스틱만" 절박한 개도국들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120211130005816)


플라스틱 오염 문제는 2010년대부터 '해양 폐기물' 문제로 국제사회의 주목을 받기 시작해, 미세플라스틱 등 건강 문제나 기후 문제로도 다뤄지고 있다. 플라스틱 생산 원료 99%가 석유 등 화석연료이기 때문이다. 미국 에너지부 산하 로렌스버클리 국립연구소 분석에 따르면, 플라스틱 생산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9년 기준 전 세계 탄소배출량 5%에 달한다. 문제는 향후 플라스틱 생산량은 2050년까지 2배, 배출량은 3배 늘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이다.

환경운동연합이 지난달 연 세미나에서, 국제환경단체 지구의벗(FoE)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캠페이너 리코 유리피두는 "2019년 플라스틱으로 인한 탄소배출량은 22.4억 톤에 달한다"며 "기후위기 대응에서 플라스틱 문제를 배제한 채로는 (산업화 대비 지구 평균 기온 상승을 1.5도로 제한하는) 파리협정 목표 달성이 불가능하다"지적한 배경이다.

산유국 vs EU·피해국 구도 속 조용한 한국

스위스 제네바에서 '유엔 플라스틱 협약 성안을 위한 제5차 정부 간 협상위원회 속개회의(INC 5.2)'가 열리기 하루 전인 4일 환경운동가들이 강력한 협약 성안을 촉구하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팻말에는 '플라스틱 생산을 감축하라. 우리의 멸종을 가속화하지 말고, 당장 강력한 협약을 만들라'고 써있다. 제네바=AFP 연합뉴스


협상의 최대 난점은 플라스틱 원재료인 '1차 폴리머'를 포함한 생산 규제 문제다. 협상에 참여하는 170여 개 국가 중 유럽연합(EU)과 제3세계 피해국을 중심으로 100개 이상의 나라가 생산 규제 조항을 넣는데 동의하고 있다. 하지만 '오일 머니'라는 경제적 이해관계가 걸린 중동 산유국이나 러시아 등 소수 국가들은 강하게 반대하고 있어, 통상 만장일치 방식으로 결정되는 국제 협약의 결론을 내리기 어려운 상황이다.

연관기사
• "플라스틱 감축" 외치던 한국, '유해제품·물질 퇴출' 성명도 외면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120110310003343)


우리나라는 중국·미국·사우디아라비아에 이은 세계 4위 플라스틱 생산국이자 제5차 회의 주최국이었음에도, 협상에 소극적 자세로 일관하고 있다는 비판도 국내외 안팎에서 크다. 한국은 1인당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량이 2019년 기준 90.5㎏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42.4㎏)의 2배 이상이기도 하다. 유혜인 환경운동연합 정책변화팀 선임활동가는 "INC5 개최국인 한국은 기대되는 수준의 리더십과 야심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며 이번 INC5.2에서 정부가 플라스틱 생산 감축 목표를 포함한 강력한 협약 문서에 대해 지지를 표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세계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