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자고 나간 직장, 전쟁터 돼선 안 돼" 포스코이앤씨 찾은 고용장관

최나실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이 대통령 "미필적고의에 의한 살인" 질타
김영훈 장관 "재발 방지에 노사정 노력해야"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지난 2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개정안(노란봉투법)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김 장관은 30일 경기 화성시 쿠팡 동탄 물류센터를 불시에 방문해 '노동자 폭염 대책'을 점검한 데 이어, 31일에는 올해 산재가 잇따라 발생한 포스코이앤씨 본사를 방문했다. 홍인기 기자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올해에만 4명의 산업재해 사망자가 발생한 포스코이앤씨를 방문해 "살자고, 돈 벌자고 나간 직장이 전쟁터가 돼서는 안 된다"며 중대재해 감축 의지를 재차 밝혔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이 건설사에서 발생한 잇단 참사를 두고 "미필적고의에 의한 살인"이라며 강도 높게 질타한 바 있다.

김 장관은 31일 더불어민주당 산업재해예방 태스크포스(TF)와 함께 인천 송도의 포스코이앤씨 본사를 찾아 "노동자의 안전을 책임져야 되는 주무장관으로서 깊은 책임을 느끼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포스코이앤씨에서 올해 들어서만 네 명의 노동자가 일터에서 가정으로 돌아가지 못했고, 사고 유형도 매번 반복되는 후진국형 떨어짐, 끼임사고가 대부분"이라고 지적했다. 올해 들어 포스코이앤씨가 시공하는 건설현장 등에서는 노동자 4명이 숨지고 1명이 다쳤다.

연관기사
• 이 대통령, '산재 사망' SPC 공장 찾아... "생명 귀하게 여기는 사회로"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72516030005186)


김 장관은 "중대재해 감축을 위해 중요한 것은 정확한 원인 규명"이라며 "(또 다른 산재 빈발 사업장인) SPC 사고도 표면적으로는 노동자가 안전수칙을 지키지 않아 발생한 것처럼 보이지만 근간에는 저임금 장시간 심야노동이 있었음이 확인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포스코이앤씨에서 다른 기업보다 사고가 반복적으로 발생된다면 우연이 아닌 것 아니냐는 게 대통령의 깊은 걱정"이라고 전했다. 특히 "고용부에서도 본사를 포함한 전 사업장 감독에 착수했지만 사전 예방을 못했다면 책임을 통감해야 한다"며 "재발을 막도록 노사정이 모든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관기사
• [사설] 잇단 산재 사망에 '근절 원년' 공언한 이 대통령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72916370004003)


김 장관은 노동안전이 노사 모두의 이익일 뿐 아니라, '국격의 문제'라고도 했다. 그는 "건설업은 그 자체로 위험 작업이 많고 산업 구조적으로 다단계 하도급이 있기 때문에 위험이 밑으로 갈수록 심대해지는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다"며 "대통령은 국토교통부와 고용부가 협업해 이런 구조적 문제의 근본 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하셨고, 살자고 돈 벌자고 나간 직장이 전쟁터가 돼서는 안 된다고 말씀하셨다"고 전했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30일 경기 화성시 쿠팡 동탄물류센터를 찾아 폭염 속 노동자 작업 및 휴식 환경을 점검하고 있다. 고용부 제공


그러면서 김 장관은 "안전은 노사의 공동 이익이다. 더 이상 사람과 안전을 비용으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며 "중대재해는 국격의 문제고 이재명 정부에서는 경제성장률만큼 '산재 사망 감소율'을 나라의 중요한 가치 척도로 보고 있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29일 국무회의에서 포스코이앤씨의 잇단 참사를 언급, "후진적 산재를 영구 추방해야" 한다면서 사망 사고 빈발 시 징벌적 손해배상 등 강력한 조치에 대한 검토를 주문한 바 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