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2주택' 금감원장, 1채는 정리한다더니 '자녀 증여'…세금 강화 움직임에 증여 러시

서영일 기자
입력
수정 2025.10.22. 오후 10:02
기사원문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앵커]
이재명 대통령 변호를 맡았던 이찬진 금감원장이 강남 2주택자라는 사실, 저희가 단독 보도 해드린 적이 있습니다. 국정감사에서도 이 문제가 집중거론되자, 이 원장은 조만간 정리하겠다며 진화에 나섰습니다. 그런데 파는 게 아니라 자녀에게 물려주겠다는 겁니다. 핵심 관료가 이정도면, 다른 분들은 어떨까요?

서영일 기자입니다.

[리포트]
서울 서초구 아파트 2채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 이찬진 금융감독원장.

대출 규제를 감독하는 책임자로서 위선적인 것 아니냐는 비판이 일자 조만간 다주택을 정리하겠다고 했습니다.

이찬진 / 금융감독원장 (어제, 국회 정무위)
"눈높이에 맞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한두 달 안으로 정리할 상황입니다. 정확하게는 제 자녀에게 양도할…."

아파트 1채를 팔겠다는 게 아니라 자녀에게 증여하겠다는 취지로 풀이됩니다.

서울 고가 아파트를 자녀에게 물려주려는 이런 움직임은 서울 핵심지역을 중심으로 확산하고 있습니다.

김종필 / 세무사
"(규제) 기미가 보였기 때문에 강변 따라서 있었던 마포나 성동이나 이런 쪽 관련돼서는 많이 움직였어요."

정부가 보유세를 강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자 '서울 집은 파는게 아니'라는 판단에 증여에 나서는 겁니다.

A씨 / 세무사
"증여하시는 분들은 이 부동산의 시세가 좀 더 올라갈 거라고 예상을 하는 분들이 많다는 얘기예요."

실제로 지난달 서울 주택 증여 건수는 881건으로, 올해 초(400여 건)보다 두 배 넘게 올랐습니다.

일부 고위층이 정부의 집값 안정 기조와는 정반대 행보를 보이면서 정책 신뢰도마저 추락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TV조선 서영일입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