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실장은 이날 오전 인천국제공항을 통한 출국 직전 기자들과 만나 "한두 가지 아직 한미 양국 입장이 팽팽하게 대립하는 분야가 있다"며 "국익에 맞는 타결안을 만들기 위해 다시 나가보겠다"고 헀다.
이번 방미행에는 김정관 산업부 장관도 동행한다.
김 실장은 "쟁점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특정 시점까지만 합의된 내용을 가지고 MOU 하는 안은 정부에서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APEC 정상회의 계기 열리는 2차 한미정상회담에서 일부 관세 합의사항 만으로 부분적 MOU를 체결할 뜻은 없다며 선을 그은 것이다.
"지난 7월 31일 양국 타결안을 실행할 수 있는 MOU 전체에 대해 양국과 합의돼야 성과물로 마무리될 것"이라며 "그전에 APEC 같은 특정 시점 때문에 중요한 부분을 남기고 부분 합의된 바로 MOU 사인을 하는 것은 정부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다만 MOU 체결까지는 아니더라도 양국 간 합의문을 작성할 가능성은 남아있다.
김 실장은 이에 대해 "지난 워싱턴 한미 정상회담 당시 큰 성과가 있었는데 대외적으로 단일안이 정리돼 발표되지 않았다"며 "통상 관련 이행에 관한 사항들이 그때 합의에 이르지 못해 다른 분야까지 보류돼 있는 상태인데, 만약 통상 MOU가 완료되면 워싱턴 잠정 합의 성과들까지 한꺼번에 대외적으로 발표될 수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이 말에 따르면 MOU 서명 없이는 보여주기식 합의문 작성도 어려울 수 있다는 취지로도 읽힌다.
김 실장은 "이번에 통상 분야가 양국의 이익 합치로 마무리될 수 있으면 그 결과(안보 분야까지 발표)도 예상한다"면서도 "협상엔 상대가 있고 시시때때로 변하기 때문에 단정하기는 어렵다"고 했다.